정보통신부가 ''글로벌 IT 코리아 건설''이라는 계획을 통해 2006년까지 우리나라를 명실공히 세계 IT강국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나섰다. 특히 월드컵과 아시안게임이 열리는 올해를 원년으로 설정,IT산업이 수출과 투자를 선도하도록 하겠다면서 구체적으로 제시한 추진계획들이 우선 눈길을 끈다. 수출 5백10억달러,무역흑자 1백50억달러 달성이라든지 12조원이 넘는 투자계획은 그런 의욕을 보여주기에 충분하고,또한 IMT-2000과 디지털 TV보급 등 새로운 서비스 및 제품의 확산과 건전한 IT벤처의 육성 등도 주목되는 부분들이다. 하지만 이런 계획들이 보다 내실을 기하려면 간과해선 안될 과제 또한 적지 않다고 본다. 수출과 흑자목표의 경우 일단 재작년 수준을 회복한다는 것으로 앞으로의 경기전망을 고려할 때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우리 IT산업이 내부적으로 여전히 안고 있는 구조적 문제인 심각한 기술수지 적자,중간재 및 부품의 낮은 국산화율,그리고 이로 인한 생산유발효과의 한계를 개선하는 과제가 이런 수치 속에 가려져서는 안될 것이다. 투자를 최대한 확대하고 이를 조기에 집행하겠다는 것도 그 필요성은 충분히 인정된다. 다만 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자칫 전체적인 투자 포트폴리오의 견지라든지 효율성 제고 문제가 소홀히 다뤄지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신규 서비스나 제품의 확산을 촉진하고 이를 해외시장 개척으로 연결하겠다는 것은 환영할만 하지만 그에 앞서 몇가지 정책적 불확실성 만큼은 해소돼야 한다. 사실 IMT-2000 서비스만 하더라도 차세대 영상이동통신 구현이라는 초기의 청사진은 불명확해진채 2.5세대 서비스가 IMT-2000으로 간주되는 실정이다. 세계시장 선점차원에서 디지털TV 시장이 일단 임계규모에 이르도록 유인하겠다는 것은 분명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여전히 갈등관계를 보이고 있는 산자부와 정통부간의 영역다툼으로 기업들이 헷갈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또한 디지털방송의 전송방식 규격을 둘러싼 논란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정통부가 새로운 벤처정책을 강구하겠다는 것도 IT업종이 벤처의 주종임을 감안할 때 기대되는 바가 크다. 무엇보다 인프라 등 정부가 해야 할 일은 반드시 해야겠지만 되도록 시장 메커니즘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글로벌 IT 코리아 건설'' 계획이 현실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이 이런 과제들을 해결해야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