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美之惡, 지미지악, 知惡之美, 지악지미, 然後能知美惡矣. 연후능지미악의. .............................................................................. 아름다운 것의 추악함을 알고,추악한 것의 아름다움을 알고 나서야 아름다움과 추악함을 알 수 있다. .............................................................................. '여씨춘추 거우(呂氏春秋 去尤)'에 있는 말이다. 이 세상에 아름답고 추악하고,좋고 나쁘고,높고 낮고,길고 짧고,밝고 어둡고,행복하고,불행하고를 가릴 수 있는 절대기준은 없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상대적 가치이거나 주관적 판단에 의한 것일 뿐이다. 새옹지마(塞翁之馬) 이야기나 장장(蔣子)의 "나비의 꿈"이야기 등은 바로 이 세상에 행복과 불행,너와 나를 가릴 수 있는 확실한 기준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사람의 혀는 쓴 맛과 단 맛을 쉽게 가린다. 그러나 우리는 또 곧잘 "고진감래"(苦盡甘來)라는 말을 쓴다. 쓴 맛을 아는 사람이 단 맛도 안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 있다. 새벽은 밤이 그것을 잉태하였기로 우리에게 다가오는 것이다. 이병한 < 서울대 명예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