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와 산업정책연구원이 공동으로 실시한 '2001 브랜드 가치평가'는 국내기업들의 취약한 브랜드 가치의 현주소를 읽게 해줬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를 부착함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이익을 말하는 것으로, 인수합병시에도 브랜드 가치를 지불해야 할 정도로 기업가치 평가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기업과 제품 이미지를 창출하는 브랜드는 대부분의 선진기업들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전략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아가는 추세다. 그런 점에서 이번 2001 브랜드 가치평가가 어떻게 나올지 큰 관심거리였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대상업종이 보다 확대됐고,방법론에서도 재무적 측면과 마케팅적 측면을 모두 고려함으로써 나름대로 설득력도 확보했다. 하지만 결과를 보면 아직은 가야할 길이 멀다는 느낌이다. 이번 평가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기업별 격차가 매우 커졌다는 점이다. 작년에 이어 2년째 1위를 차지한 삼성전자는 2위 업체의 가치와 비교해 배가 넘고,그나마 1조원 이상의 가치를 갖는 기업도 6개에 불과했다. 선진기업들과 비교하면 격차는 더욱 벌어진다. 세계적 브랜드 가치평가회사인 인터브랜드가 선정한 1백대 브랜드 기업에 국내기업으로는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포함됐지만, 삼성전자의 브랜드 가치는 세계 1위인 코카콜라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것은 전반적으로 우리기업들의 브랜드 가치 인식이 아직은 낮다는 것을 시사해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이번 평가가 던지는 가장 중요한 과제도 바로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와 독자브랜드 개발에 눈을 돌려야 한다는데 있다. 나아가 기업브랜드 가치를 높이려면 국가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제품이 국가이미지를 창출하기도 하지만, 국가 또한 기업 및 제품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원산지 효과만 생각해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브랜드 가치가 높은 기업이 소재한 국가일수록 국가브랜드를 창출하려는 정부의 노력은 대단하다. 이탈리아의 '메이드 인 이탈리아',프랑스의 '기술ㆍ산업 프랑스'등의 프로그램은 모두 이런 차원에서 나온 것이다. 정부나 기업 모두 이번 기회에 브랜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식해야 할 것이고,국가이미지와 상품이미지 간의 선순환 구축에도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