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우리 경제전망이 문자 그대로 무척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참으로 걱정스럽다. 2일 정부가 발표한 하반기 경제운용계획에서도 뚜렷한 해답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올해 경제성장률을 당초의 5∼6%에서 4∼5%로 하향 조정하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이내,실업률은 3%대에서 안정시키겠다는 것이 주요골자다. 상반기중 3%대에 머물렀던 경제성장률이 하반기에는 5%수준으로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가 그같은 전망의 근거다. 우리는 정부가 성장률을 낮춰 잡았다고는 하지만 이것도 낙관적이 아니냐는 생각을 갖는다. 세계경기 회복이 아직도 불투명한데다 실물경제의 각종 지표들이 회복기미를 보이기는커녕 오히려 악화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수출만 해도 지난 6월중 전년동기 대비 13.4%나 줄어 들었다. 특히 연 4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수입감소도 문제다. 6월중 수입은 소비재가 10.4% 늘어난 반면 원자재는 5.8%,자본재는 무려 23.8%나 각각 줄었다. 설비투자가 줄고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산업활동 동향을 보더라도 지난 5월중 생산과 출하는 정체를 면치 못하고 있고,재고는 18.7%나 늘었다. 경기회복 전망이 갈수록 불투명해지면서 경제의 성장기반 약화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하반기 주요정책과제로 제한적인 경기대책을 추진하면서 상시적인 구조개혁의 정착과 투자 및 수출활성화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대외경제여건의 악화가 가장 큰 요인이라고는 하지만 경제에 대한 상황인식이 너무 안이한게 아니냐는 점에서 실망스럽다. 보다 적극적인 경기진작책을 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추경을 포함한 가능한 재정정책을 총동원함은 물론 금리인하 등 정책변수의 조작에 실기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해야 할 것이다. 정치권은 물론 노동계와 소비자 등 정부이외의 모든 경제주체들도 이 점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