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광공사가 지난 23일 정부로부터 남북협력사업자로 정식 승인받음으로써 그동안 중단위기에 몰렸던 금강산관광사업이 새 돌파구를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기업인 관광공사의 참여에 대한 찬반논란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금강산관광사업이 단순한 돈벌이 차원을 넘어 남북화해의 상징적인 사업이란 점에서 어떤 형태로든 지속되어야만 한다는 역사적 당위성에 비춰볼 때 기존의 현대아산과 관광공사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활성화시키려는 것은 유효한 대안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한다. 논란이 되고 있는 남북협력기금의 지원이나 금융차입 등 자금조달 방안도 같은 맥락에서 남북관계의 장기발전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결정해야 할 일이다. 다만 우리는 금강산관광사업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어느 정도의 수익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남북화해의 물꼬를 튼 역사적 명분이 아무리 훌륭하다고 하더라도 누적되는 사업손실을 국민의 세금으로 메울 수는 없다. 이 점은 정부는 물론이고 사업추진 주체들이 명심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금강산사업 활성화는 북측이 얼마나 성의있게 참여하느냐가 더 긴요하다고 본다. 우리에 상응하는 조치를 보다 분명하고 확실하게 보여주어야 할 때다. 현대아산은 얼마전 북한 조선아태평화위원회와 금강산 육로관광 실시 등에 합의했다고 발표한바 있다. 지금의 배를 이용한 관광보다 시간이나 비용면에서 월등히 싼 육로관광이 실현되면 그만큼 수익성도 개선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문제는 이에 대한 북측의 후속조치가 아직은 분명치 않다는 점이다. 남북간에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북측은 금강산관광사업을 지속시키기 위해 육로관광 실행방안 등 나름대로의 확실한 대안을 우선 제시해야 할 것이다. 특히 금강산관광 대가에 대한 기존의 지급계약은 시정돼야만 한다. 지금과 같이 관광객의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일정금액을 매월 지급토록 하는 것 자체가 비합리적일 뿐만 아니라 대가지급 규모도 터무니없이 높아 새로운 컨소시엄이 구성된다 하더라도 이대로는 사업의 지속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는 남북화해협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북측에도 손해가 되는 일이다. 현대아산과 함께 관광공사가 새로 참여한 만큼 조만간 금강산사업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대책이 제시될 것으로 믿는다. 동시에 금강산사업의 여건조성에 북측이 좀더 성의있게 나서주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