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7일 청와대 보고를 통해 밝힌 e비즈니스 확산 국가전략은 e비즈니스의 초기 도입단계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기존 산업 전반에 e비즈니스를 확산시켜 산업체질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일단 평가할 만하다.

국내 e비즈니스 분야는 그동안 외형적으로 급성장을 해왔지만 기존 산업과의 접목에 실패, 외화내빈으로 흘러온 감이 없지 않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e비즈니스 인프라를 살펴보면 이미 선진국 수준에 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인터넷 이용자가 2천만명에 육박하고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도 2년전보다 3배 이상 늘어난 3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실제 산업활용도는 선진국보다 2~3년 뒤처져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분석이다.

이번 대책에서 정부가 지금까지의 인프라 구축 중심에서 벗어나 설계 조달 생산 판매 등 모든 프로세스의 e비즈니스화에 초점을 둔 것은 올바른 방향설정으로 보여진다.

특히 3백억원을 투자해 전자 자동차 조선 등 6대 업종별 단체가 중심이 돼 산업별 모델을 개발하고 공공데이터베이스를 구축토록 한 것은 산업간 협력강화를 위한 실질적인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같은 계획을 달성하려면 넘어야할 산이 한둘이 아니다.

무엇보다도 전자상거래의 핵심인 기업간 협업문화가 정착되지 못했다는 것이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또 고질적인 부처이기주의가 사라지지 않는한 정책 집행과정에서 갈등이 불거질 소지는 얼마든지 있다고 하겠다.

전자거래 활성화에 치중하다 보면 소비자피해가 늘어나고 무자료거래 등 불법 탈법 거래관행이 기승을 부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번 대책은 시행과정에서 많은 난관이 예상되지만 조속한 e비즈니스화를 통한 21세기 국가경쟁력 확보는 최우선 당면과제임에 틀림없다.

정부와 기업은 새로운 성장동인을 e비즈니스에서 찾는다는 각오로 범 국가적 추진체제를 갖추는 일에 역량을 결집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