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이동전화요금을 둘러싸고 벌어져온 산발적인 다툼이 본격적인 전면전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참여연대가 정보통신부와 이동전화사업자들에게 상반기안에 이동전화 기본료를 30% 내리거나 무료통화를 월 40분 이상 제공하라고 ''선전포고''를 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참여연대는 이같은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온.오프라인 1백만명 서명운동에 들어간데 이어 시민행동단 모집 등 갖가지 투쟁방식을 동원하겠다고 하니 쉽게 끝날 싸움이 아닌성 싶다.

우리는 지금까지 시민단체가 벌여온 많은 서명운동을 보아 왔지만 특정 상품의 가격구조를 바꾸기 위해 서명운동이라는 극단적인 방법을 동원한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여진다.

자유시장경제체제 하에서 재화와 용역의 값이 압력단체의 서명운동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일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 이동전화요금 인하를 진지하게 검토해야 될 때가 됐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다.

우선 이동전화 가입자 수가 전 인구의 60%에 이르는 2천7백만명으로 늘어났지만 요금은 가입자가 7백만∼8백만명 선이던 97년 수준에서 거의 내려오지 않고 있다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선진국의 예를 들지 않더라도 가입자가 늘어나면 즉각 요금을 내려 이익을 소비자에게 환원하는 것이 원칙이다.

또 이동전화업체가 5개에서 3개로 통폐합되고 단말기 보조금이 없어지면서 마케팅 비용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 힘입어 지난해 어떤 회사는 1조원이상의 이익을 챙기기도 했다.

가구별 휴대전화 요금이 1년 사이에 45.5%나 급증한 현실에서 볼 때 소비자들의 불만을 사고도 남을만하다.

상황이 이런데도 ''누적적자''와 ''신규사업투자부담'' 만을 내세워 언제까지나 요금인하 요구를 묵살할수만은 없는 노릇이다.

물론 요금인하 요인을 그대로 반영하다보면 SK텔레콤의 시장지배력을 더욱 강화시킬뿐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하지만 이 문제는 시장점유율 규제와 필요하다면 영업행위 제한을 통해서라도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본다.

업체들은 이동전화요금의 원가내용을 떳떳하게 공개하여 소비자들의 이해를 구하든가, 아니면 요금을 인하하든가 해야 할 것이다.

정통부 역시 ''사업자 편만 든다''는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통신위원회를 독립시켜 소비자 권익 보호에 신경을 써야할 것이다.

지금처럼 원가내용조차 공개하지 못하는 어정쩡한 태도로는 거품요금 논쟁을 잠재울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