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가 기여입학제를 도입하겠다고 나서서 논란이 일고 있다.

기여입학제는 대학의 설립이나 발전에 물질적 혹은 비물질적으로 현저한 공로가 있는 사람의 자손에 대해 특례입학을 인정하는 제도다.

86년 교육개혁심의회가 사학 발전정책의 하나로 내놓은 뒤 여러차례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국민정서상 부정적이라는 이유로 번번이 유야무야됐다.

93년 교육부가 자율능력이 있는 대학에 한해 허용을 전향적으로 고려하겠다고 밝혔으나 여론에 밀려 없던 일로 됐고, 96년과 97년에도 거론됐으나 흐지부지됐다.

이번에도 찬반론이 팽팽한 가운데 반대쪽 여론이 우세한 것처럼 보인다.

기여입학에 대한 반감이 심한건 대입까지 부모의 재력이나 힘에 좌우되면 안된다는 시각 때문이다.

돈만 내면 되는 식으로 운용하지 않는다지만 결국은 그런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겠느냐는 식의 불신감도 한몫 하는 듯하다.

그러나 찬성론자들은 꼭 그렇게 볼 수만은 없다고 주장한다.

교육의 기회균 등 문제는 정원외입학및 엄격한 학사관리로 처리하면 되고, 재원을 교수확보및 시설확충, 장학금 확대 등에만 쓰도록 잘 관리하면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는건 물론 오히려 없는 학생들의 교육기회를 늘려 줄수 있다는 것이다.

대학간 부익부 빈익빈 문제는 정부의 지원금 조정으로 해결하면 된다는 얘기다.

사학의 재정은 등록금 재단전입금 국고보조금및 기부금으로 이뤄지는데 지금처럼 등록금 의존율이 70∼80%(선진국 평균 40%)나 되고, 법인전입금과 국고지원은 부족한데다 반대급부가 없어 기부자도 적은 상황에선 재정난을 해소할 길이 없고 따라서 경쟁력 향상을 기대할수 없다는 지적도 많다.

가계의 과외비 지출이 연간 10조원이 넘고 그러다보니 너나 할것없이 해외로 떠나는 실정 또한 기여입학제를 긍정검토할수 있는 요인이라고 말한다.

찬성과 반대 모두 타당성을 지닌다.

하지만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는 전적으로 대학의 자율에 맡기는게 바람직하지 않을까.

보다 우수한 학생을 배출하고 싶은건 누구보다 대학의 가장 큰 욕구일 터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