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업 노조들이 구조조정에 반대해 극단적인 집단행동을 벌이는 것은 자제돼야 마땅하다.

공기업의 방만한 경영과 비능률이 심각해 국민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고, 따라서 철저한 구조조정 없이 살아남기 힘들다는 사실은 국민 모두가 공감하는 바다.

더구나 민간기업들에 비해 공기업의 구조조정은 상대적으로 부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따라서 민영화와 감량경영을 근간으로 하는 공기업 개혁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과제다.

물론 어떤 수단과 방법으로 공기업 개혁을 추진하느냐에 대해 견해차이는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노조가 파업 등 극단적인 집단행동으로 저지투쟁에 나서는 것은 대책이 될 수 없고, 오히려 사태를 악화시킬 뿐이다.

그런 점에서 26일 열린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산하 공공부문 노조의 연대집회는 매우 걱정스런 사태가 아닐 수 없다.

또 지난 24일로 예정됐던 한전노조의 파업이 일단 유보된 것은 다행스런 일이지만 민영화를 둘러싼 견해차가 좁혀진 것은 아니다.

파업유보 이후 전력산업 구조개편과 노조파업문제 등의 해법을 찾기 위한 노사정간담회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원만한 해결방안이 제시되기를 기대한다.

다만 어떠한 경우에도 전력산업의 구조개편과 공기업 구조조정의 원칙이 흔들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싶다.

만약 이번에 한전 구조조정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지연될 경우 통신 철도 가스 담배분야 등 모든 공기업의 구조조정이 줄줄이 무산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이고, 특히 자산 63조원, 부채 32조원, 연간예산 27조원의 거대 독점기업인 한전의 구조개편이 늦어지면 늦어질수록 국민경제에 과중한 부담을 안겨준다는 사실을 노조를 포함한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철저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부는 한전 구조개편으로 생길 수 있는 고용불안 등 여러가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폭넓게 강구하고 노조를 설득시키되 확고한 원칙과 결연한 자세로 공기업 구조조정의 시금석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국회는 정부가 상정한 전력산업구조개편 관련법안을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국가경제의 회생차원에서 검토하고,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공기업 혁신의 기초를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거듭 강조하지만 공기업 구조조정은 피해서도 안되고 피할 수도 없는 생존과제라는 점에서 파업을 통한 반대는 무의미하다.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데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는 것이 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