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10월 30일) 새벽 아시안컵 축구에 출전한 일본 대표팀을 응원하면서 일본 축구가 어떻게 그만큼 역량을 쌓았는지를 생각해보게 됐다.

프로리그에 있는 외국인 선수가 늘어난 것과 구단경영에서 선수까지 프로답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이 정비된 것이 일본 축구 발전의 원인일 것이다.

경제도 마찬가지다.

장래 일본경제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경쟁을 촉진하는 정책을 하루빨리 도입해야 한다.

일본경제는 80년대 최고 호황을 구가한 후 90년대 침체기를 거쳤다.

그러나 엔화는 여전히 세계 최강 통화중 하나며 90년대 경기호황이 계속된 유럽의 유로화보다도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그 이유는 일본 산업의 양면성에서 찾을 수 있다.

엔화 강세는 일본기업들의 국제 경쟁력을 설명하는 동시에 높은 비용 구조라는 부작용을 내포하고 있다.

도요타와 마쓰시타전기산업 등 국제시장에서도 드문 경쟁력있는 기업들의 파워가 지금의 엔화시세를 만들었다.

그러나 정부가 전력과 통신을 수입할 때 엔화 결제만을 고집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정부의 산업보호정책은 일본 경제를 성장시킨 배경이 됐지만 동시에 높은 비용 구조라는 부작용을 초래했다.

일본이 이러한 양면성을 없애기 위해서는 경쟁을 촉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미국은 일본이 지난 10년간 경기침체로 자신감을 완전히 잃어가는 동안 전례없는 호황을 누렸다.

미국의 성공 뒤에는 바로 경쟁촉진정책이 있다.

내가 사외이사로 있는 제너럴모터스(GM)는 디트로이트 인구가 1백50만명에서 90만명으로 줄어들 만큼 인력을 삭감했다.

예전에 일본에서 품질관리를 배워갔던 미국 제조업체들도 줄곧 그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러한 경제구조 쇄신에는 미국정부가 큰 역할을 담당했다.

미 정부는 84년 거대 통신업체 AT&T를 분할했다.

96년에는 모든 통신회사가 규제를 초월해 자유롭게 경쟁하게 됐다.

이 기간동안 실리콘밸리에서는 벤처기업들이 번창하기 시작했고 자유로운 경쟁 속에 팜컴퓨터와 인터넷 기술등이 쏟아져나왔다.

미국의 부활은 정부가 자유경쟁을 바탕으로 산업구조를 개혁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일본은 미국이 20년간 한 일을 앞으로 5년 동안 따라잡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가 일본정부의 IT전략회의 주제다.

이 회의에서는 5년안에 미국보다 빠른 고속인터넷망을 전국에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세우고 있다.

일본의 IT발전을 위해서는 일반인들의 자유로운 광통신 인프라 사용이 전제돼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일본의 인터넷시장은 일본전신전화(NTT)에 장악돼있는 상태다.

한 회사가 압도적인 강자로 군림하는 가운데 높은 사용료가 유지되는 현 상태로는 일반가정이 고속인터넷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다.

NTT를 비난하는 게 아니다.

자유 경쟁이 보장되도록 국가 제도를 바꾸자는 것이다.

고속 인터넷사업에서 자유경쟁이 인정된다면 새로운 사업들이 번성하고 기존의 사업체도 자극받아 능률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제는 업계의 차이나 국경이 존재하지 않는다.

경쟁을 통해 강력해진 미국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일본도 자유 경쟁을 통해 힘을 기를 필요가 있다.

21세기를 향한 발전을 위해 자신감을 되찾기 위해서는 과거의 성공을 잊어버리고 일본전체의 사고방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

정리= 정지영 기자 cool@hankyung.com

...............................................................

◇이 글은 이데이 노부유키 소니 회장겸 최고경영자(CEO)가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0월30일 도쿄에서 주최한 제2차 세계경영포럼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확립''을 주제로 연설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