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퇴직임직원들이 워크아웃기업 임원으로 대거 기용되고 있다는 것은 생각해볼 점이 적지않다.

채권은행과 워크아웃기업간 유착과 이로 인해 새로운 도덕적해이가 빚어질 우려는 없는지 따져봐야할 필요도 결코 없지 않다.

금융기관이건 민간기업이건 사장이나 임원이 꼭 내부에서 기용돼야한다는 주장은 반드시 옳다고 하기 어렵다.

경쟁력강화를 위한 외부수혈이 긴요한 경우도 결코 적지 않기 때문이다.

바로 그런 점에서 우리는 공무원의 공기업및 금융기관 취업을 하나같이 낙하산인사라고 매도하는 것도 문제가 있고,퇴직은행원들의 워크아웃기업 임원기용도 획일적으로 잘못됐다고 단정하는데는 무리가 있다는 기본인식을 갖고있다.

그러나 이렇다할 능력검증절차도 없이 퇴직은행원들을 워크아웃기업 임원으로 선임토록 채권은행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면 이는 큰 문제다.

보도만으로 퇴직은행원들의 워크아웃기업 취업을 하나같이 부당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채권단이 단일후보로 추천해 선임된 경우가 절대다수라는 사실만으로도 우려를 갖게 하기에 충분하다.

퇴직은행원들을 은행관리기업으로 내보낸 과거의 관행도 거의 대부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낳았지만,현상황에서는 이런 유형의 인사가 몰고올 부작용은 더욱 걱정스럽기만 하다.

오는11월말까지 모든 워크아웃기업을 대상으로 퇴출여부를 재점검해야 한다는 점만 되새기더라도 그러하다.

엄청난 공적자금이 투입된 은행들조차 민간기업에 비해 터무니없이 많은 명예퇴직금을 지급해 물의가 없지 않은데,여기에 겹쳐 퇴직임직원들을 대거 워크아웃기업으로 밀어 넣는다면 국민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 것인지,은행들은 바로 이점을 직시해야 한다.

오늘의 금융현실이 금융인들의 도덕적 해이 때문이 아니라 하기 어렵다는 일반적 인식을 감안하더라도 은행과 은행원들은 좀더 엄격한 행동규범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