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의 연구집적지는 1천2백여개 정도다.

이들 연구집적지는 8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했고 산업의 기술집약화 흐름과 맥을 같이했다.

이는 산업의 구조조정에 있어서 이들 연구단지가 매우 적극적인 정책수단으로 활용됐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연구단지들은 제각각 서로 다른 과정을 거쳐 조성됐지만 크게 보면 정부주도형과 민간주도형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의 대덕단지를 비롯 일본 대만 중국 등 아시아의 경우는 거의 정부주도형이다.

프랑스는 지방정부가 사업주체로 추진한 경우가 많아 정부주도형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러나 미국 영국 독일 등은 대학을 중심으로 자연발생적으로 집적됐으며,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경우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민간주도형이다.

정부주도형은 물리적 집적을 단기간에 조성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지역의 자생적인 생태계 형성까지는 어려움이 많다는 지적이다.

그에 반해 민간주도형의 경우는 시간이 다소 걸리긴 해도 일단 성공하면 유기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어느 방식이 좋은지 따지는 것은 무리다.

국가혁신시스템의 발전단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수요측면의 혁신요인도 부족하지만 선진국에 비해 절대적으로 공급측면의 혁신인프라가 부족한 경우 정부주도형이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또 구미의 경우 자생적 측면이 강하다곤 하지만 연구능력을 보유한 대학들이 존재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어쨌든 전세계적으로 연구 기술단지가 확산되면서 지역은 혁신집적지로서 국가경제적 중요성이 날로 증대하고 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

이에 따라 중앙정부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물리적 기술인프라(Basic Tech Infra)조성에 이어 소프트적 기술인프라(Advanced Tech Infra)가 더욱 강조되고 있다.

기초연구 강화,효율적 연구시스템,혁신주체간 네트워크와 컨소시엄,표준 및 지식재산권 등이 바로 여기에 해당한다.

안현실 전문위원 경영과학博 a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