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금의 ''외압 보증'' 수사가 급진전되고 있다.

관련자들이 줄줄이 불려가면서 의혹의 껍질이 한꺼풀씩 벗겨지고 있다.

베일에 가려져 있던 관련자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번엔 뭔가 드러날 분위기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대부분의 시민들은 수사결과를 별로 기대하지 않는 표정이다.

단순히 검찰에 대한 불신에서가 아니다.

바로 ''옷 로비'' 수사 때와 너무나 흡사한 수순을 밟고 있다는 점에서다.

사건의 발단에서부터 재수사에 이르는 과정,심지어는 관련자들의 진술까지도 빼다박은 듯 닮은 꼴이라는 것이다.

결국 이번에도 옷로비 때처럼 흐지부지되지 않겠느냐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옷 로비'' 때도 사직동팀(경찰청 조사과)에서 사건이 시작됐다.

비리에 대한 첩보가 사직동팀으로 들어갔고 최초의 수사가 이곳에서 이루어졌다.

은밀한 조사로 세인들의 눈에 띄지 않던 사안이 언론에 의해 노출되자 검찰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명예''를 걸고 수사한 검찰은 ''자작극''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여론은 ''봐주기 수사''라고 쏘아붙였다.

여론의 비난이 비등해지자 검찰은 수사팀을 바꾸고 재수사에 들어갔다.

그때도 ''한점 의혹 없이 밝혀내겠다''고 천명했었다.

재수사 과정에서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인물들이 등장하고 사직동팀의 조사요원과 팀장이 검찰에 불려가는 장면까지 놀라울 정도로 똑같다.

사직동팀 조사에서 강압수사로 거짓진술을 했다는 관련자들의 증언도 비슷하다.

''옷 로비''를 재수사한 검찰은 ''별일 없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끝내 국회 청문회를 거쳐 특별검사에게 넘겨졌다.

이번에도 벌써부터 여야가 국정조사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

이러니 ''이번에도 결국 국정조사를 거쳐 특검으로 갈 것''이라는 시민들의 지레짐작을 나무랄 일도 아니다.

검찰은 옷로비 때와 과정이 흡사한 것은 ''우연''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시민들은 ''필연''이라고 보고 있다.

검찰에 대한 불신이 워낙뿌뿌리깊이 고착된 탓이다.

김문권 사회부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