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우리 경제에 대한 외국기관들의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문제는 같은 현안에 대한 평가라 하더라도 기관에 따라 크게 엇갈리고 있다는 점이다.

일례로 이번주 들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과 세계경제포럼(WEF)이 거의 동시에 경쟁력 보고서를 발표했다.

우리나라 경쟁력은 IMD가 지난해에 비해 10단계 오른 것으로 본 반면 WEF는 7단계 떨어진 것으로 평가했다.

이런 평가를 두 기관의 신뢰성 문제로 돌려야 할 것인가.

일단 두 기관이 경쟁력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IMD는 현 시점에서 나타난 경제성과를 토대로 경쟁력을 파악하고 있다.

이에 대해 WEF는 미래의 1인당 부가가치를 지속적으로 제고시킬 수 있는 역량으로 정의하고 있다.

지난 1년간 우리 경제는 경제성장률 수출증가율과 같은 외형적 지표는 좋았으나 성장원천을 확보하는 노력은 미흡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런 면에서 볼 때 두 기관의 엇갈린 평가는 수긍이 간다.

이런 점을 전제로 우리가 우리 경제를 객관적으로 보는 안목을 길러야 한다.

이번 평가는 두 기관에서 실시했지만 평가항목의 약 30%는 해당국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뤄졌기 때문이다.

대내외 평가기관의 역차별 문제도 시정돼야 한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 사회내에서 나타난 변화중 하나가 외국기관의 평가를 맹신하다시피 하는 풍조다.

물론 위기극복을 위해 대외신용을 유지한다는 차원에서 보면 이해는 된다.

우려되는 것은 이런 현상이 심화되면서 우리 경제의 안정성과 독립성이 떨어지고 있는 점이다.

우리 경제에 대한 정체성(identity) 논의가 끊이지 않고 있고,미국증시의 동조화 정도가 심한 것도 이런 점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따라서 두 기관을 포함한 외국기관의 평가는 겸허하게 받아들이되,우리 관점에서 재평가하는 과정을 거쳐 정책운용이나 경제활동에 활용해야 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