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정부 전반기 2년6개월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70% 이상이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는 여론조사가 있는가 하면 중간수준에도 못미친다는 전문가그룹의 평가도 있었다. 후자에 대해서는 외환위기를 수습하고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키는등 해놓은 일이 적지않다고 자부해온 정부입장에서 보면 지나치게 박한 평점이라고 불만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부정적 평가 또한 이유가 없다고 하기는 어렵다.

특히 경제분야는 그러하다.

이른바 빅딜은 아직도 후유증 투성이고 금융구조조정은 계속 답보상태다.

우리 경제의 고질이라고할 숱한 구조적인 모순들이 과연 만족할 만한 속도로 시정되고 있는지 생각해봐야할 점이 있다.

집권 후반기의 경제정책은 전반기에 대한 겸허한 반성을 토대로 마련돼야 한다.

바로 그런 점에서 최근들어 유행어가 되고 있는 ''개혁피로증''의 의미를 되새겨 보는 것이 긴요하다고 본다.

수용능력을 웃도는 개혁은 그 목표의 도덕성에 관계없이 국민들의 피로를 결과하고 그래서 결국 실패하게 마련이다.

바로 그런 점에서 정부는 개혁정책간 우선순위를 판단하고 선택을 분명히 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본다.

너무 많은 개혁과제들을 동시다발적으로 추진함으로써 빚어지는 혼선은 결단코 피해야 마땅하다.

재경부가 당정협의자료를 통해 제시한 ''국정2기 핵심과제''만도 수십가지에 달한다는 사실은 이래저래 눈길을 끈다.

이들 핵심과제가 모두 개혁적인 것은 아니지만,역시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을 분명히할 필요성을 엿볼 수 있게 하는 측면이 있다.

후반기는 이미 벌여놓은 일들의 마무리에 역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부가 국정과제를 내년 2월까지 추진할 일과 내년말까지 또는 2003년까지 추진할 일로 구분한 것은 잘한 일이다.

그러나 하나하나 내용을 뜯어보면 여전히 지나치게 서두르거나 과잉의욕을 우려하게 하는 측면이 없지않은 것도 사실이다.

의약분업문제가 제대로 정착되려면 아직 요원하고 오는 10월부터 실시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도 적잖은 혼란이 예상되고 있는 상황인데,내년에는 또 사회보장시스템을 종합 재점검하겠다니,기대보다 우려를 더하게 하는 느낌이 있다.

이제 정부는 기존 개혁정책을 안착시키는데 역점을 두어야한다고 본다.

또 IMF상황도 끝난 만큼 경제운용이 좀더 경제논리에 맞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력이 긴요하다고 본다.

이는 진정한 의미의 시장자율이 작동할 수 있도록 정부영역을 줄여나가야 한다는 얘기로도 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