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기 1년 미만인 단기외채가 총외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개월째 계속 상승해 6월말 현재 33.4%를 기록했다고 한다.

이는 지난 98년 3월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서 최근 외환보유고가 9백억 달러를 넘는다고는 하지만 지나친 단기외채부담이 IMF위기를 불러온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점에서 한시도 방심해서는 안될 것이다.

최근 동남아 통화불안의 재연을 계기로 아시아경제에 대한 국제금융시장의 시각이 비판적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물론 현재의 단기외채 규모가 위험수준인 것은 결코 아니다.

대외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외환보유고대비 단기외채비율만 하더라도 6월말 현재 52.7%로 경계수준인 60%를 밑돌고 있다.

특히 단기외채증가의 주원인인 무역신용증가는 우리경제가 구조적으로 무역의존도가 높은데다 요즘처럼 수출증가로 수출용원자재수입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는 어느정도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으며 정책선택의 폭도 매우 좁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단기외채를 철저히 관리해 대외신용도를 유지하고 단기외채 증가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미리 대비하면 충분하다고 본다.

구체적으로 외환보유고를 더 늘리고 외화유동성 감독을 강화하는 한편 외환리스크를 분산시키는 방안 등을 꼽을 수 있다.

그동안 외환보유고 과다시비가 없지 않았지만 단기외채 4백75억 달러에다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이 6백억달러를 훨씬 넘는 만큼 외환보유고를 1천억달러 이상으로 늘려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맥락에서 3개월 미만의 외화부채대비 외화자산비율인 금융기관의 단기외화 유동성비율을 70%에서 80%로 높이고 단기무역신용의 20%를 외화부채에 포함시키도록 한 조치 등도 긍정적이라고 본다.

수출이 위축될 가능성도 없지 않지만 수출용원자재는 예외로 하면 별로 문제될게 없다.

특히 최근 경상수지흑자가 크게 감소한 가운데 단기외채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밖에 기업과 금융기관들은 선물환거래 등을 통해 환율변동에 따른 단기외채의 환위험을 분산시켜야 하며 정부당국은 동남아각국의 외환위기 재발이나 중국의 변동환율제 이행가능성 등을 면밀히 관측해야 할 것이다.

어쨋든 우리의 단기외채 비중이 외환위기를 경험한 태국 말레이시아 멕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보다도 더 높은 수준이라는 사실만으로도 우리 모두 경각심을 가져야 함에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