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금융센터가 "위기재발 가능성"을 경고하는 보고서를 발표해 눈길을 끌고 있다.

물론 이런 경고는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정부소속기관이 정책당국에게 주의를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신선"하다는 느낌까지 주고 있다.

특히 정부가 다른 금융위기국가에 비해 빨리 극복해 왔다고 자부해 왔던 외화유동성에 문제를 제기했다는 점은 이례적이다.

위기재발에 대한 우려보다는 국제금융센터에 신뢰를 더 주고 있다.

여타 정책기관들도 참고해야 할 대목이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해외유출규모를 5백60억 달러에서 6백10억 달러로 설정한 것은 너무 낙관적이지 않나 생각한다.

자금의 성격이 갈수록 투기적인 속성이 강해지고 있고 또 펀드투자가 일반화된 시대에 있어서는 국내에 유입된 포트폴리오 성격의 투자분은 언제든지 빠져 나갈 수 있다고 봐야 한다.

내년부터 시행할 "제2단계 외화거래 자유화 계획"을 앞두고 국내자본의 해외도피 가능성을 지적한 것은 시의적절하다.

중요한 것은 97년 당시 해외진출기업의 국내 외화조달이 외환위기를 심화시켰던 점을 감안하면 이들 기업들의 외화건전성 문제까지 함께 지적돼야 한다.

정책수용층의 불안감은 상황을 인식하는 것만으로는 해소되기 어렵다.

국제금융센터도 정부기관의 하나이고 보면 위기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외화유동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단기외채 비중,외국인주식 투자규모를 감안할 때 외화보유고는 최소 1천억 달러 이상은 확보돼야 한다.

경상거래 흑자를 통한 추가확보방안과 외화보유고를 운용하는 방안이 함께 제시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현재 추진하고 있는 구조조정을 조속한 시일내에 마무리해 남아있는 부실을 털어내야 해외유출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동시에 해외진출기업들의 대외자산에 대한 건전성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장래상황능력까지 감안한 여신규정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외환위기 이전에 부실화된 해외진출기업의 대외자산이 아직까지 해결되고 있지 않은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대외자산 구조조정 전담반같은 것을 설치해 정리하는 방안을 강구해 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해외진출기업들의 대외자산부채 현황을 한눈에 파악이 가능하도록 관련 통계작성을 의무화해야 한다.

한상춘 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