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자금난이 방치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 같다.

성공적인 남북정상회담이라는 대형 호재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이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 그 단적인 예다.

특히 최근들어 일부 기업들에 대한 악성루머까지 나돌면서 시중의 자금경색현상이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준다.

물론 기업 자금난이 최근에야 새롭게 제기된 문제는 아니다.

꽤 오래전부터 그 증상은 뚜렷하게 나타났고,그 원인에 대해 정부는 물론 금융기관과 기업들까지도 충분히 알고 있다.

투신의 부실채권 처리가 늦어지면서 채권시장이 마비되고,그로인해 기업들의 직접금융조달이 어려워진게 핵심이다.

회사채 만기도래 금액이 6~7월만 해도 8조원을 훨씬 넘고,연말까지는 30조원에 이른다.

그런데도 투신등 제2금융권 자금은 투신정상화에 대한 불신과 채권싯가평가제 실시 등을 이유로 오히려 시장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는 형국이다.

그런가 하면 은행권은 투신이탈 자금을 비롯한 시중의 여유자금이 몰려 마땅한 운용처를 찾지못할 정도로 유동성이 풍부하다.

그런데도 기업대출은 하지않는다.

은행 합병추진 등 추가적인 금융 구조조정이 예고된 상황에서 BIS 자기자본비율이 낮아질 것을 우려한데다 기업자금 사정이 어려워지다 보니 더욱 기업대출을 기피하는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여러가지 정황으로 보아 은행들의 그같은 행태를 이해하지 못할바는 아니지만 과연 옳은 일인지,또 이익의 원천인 기업이 쓰러지고 나면 누구를 상대로 돈장사를 할 것인지 등에 대해 진지하게 자문해 볼 일이다.

정부는 돈이 돌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금융구조조정에 대한 보다 분명한 원칙을 제시하고,이미 확정된 방안은 신속히 집행함으로써 금융기관들의 불안요인을 최소화시키는게 필요하다.

지금은 무조건 돈을 돌게 하는 것이 급선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