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호 <유니텔 대표 kangseho@unitel.co.kr>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이뤄지는 이번 주는 모든 미디어의 초점이 정상회담 진행과 앞으로의 향방에 맞춰졌다.

이번 회담은 통일을 향한 정치적 측면의 교류일 뿐 아니라,경제 협력을 위한 만남이기 때문에 국내의 주요 경제인이 수행하는 것은 참으로 바람직한 일이다.

그런데,과연 인터넷 분야에서는 어떤 협력방안이 있을까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번 경제협력에서 인터넷이 크게 이슈가 되지 못하는 것은 인터넷 발달을 더디게 만든,북한사회의 정체성 때문일 것이다.

인터넷은 개방성과 익명성을 전제로 한다.

인터넷이 북한사회 전역에 확산돼 정보의 원할한 교류가 이뤄지면,다양한 정보와 의견을 빠르게 공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의 일방적인 정보 전달방식에 변화가 생기고 급속히 개방사회로 바뀔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북한당국은 인터넷 확산에 대해 조심스럽게 접근하지 않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북한 인터넷 환경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자료를 구하기가 힘들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지만,북한도 급속히 변하는 디지털 네트워킹 추세,모바일(mobile)화 경향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또 이제 인터넷은 경제의 근본 축이기 때문에 국가 경쟁력을 높이려면 인터넷 기반의 디지털 경제를 도입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 첫 단계는,북한의 현 체제에 위협을 주지 않는 선에서 인터넷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방사회에서의 인터넷 커뮤니티는 주로 <>일반 시민이 중심이 된,소비자 대상의 컨슈머 커뮤니티 <>사업을 목적으로 한 비즈니스 커뮤니티 <>사회 공공성 유지를 위한 소셜 커뮤니티 등의 3가지 순서로 발달한다.

북한의 경우는 반대로 <>현 체제나 공공성을 유지할 수 있는 소셜 커뮤니티에서부터 시작해 <>앞으로 전개될 경제협력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커뮤니티를 거쳐 <>마지막으로 일반 시민들 중심의 컨슈머 커뮤니티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도 완전 개방성을 보장하는 웹 기반의 솔루션 보다는 목적상 폐쇄성을 유지할 수 있는 PC통신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보급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비공식적 통계지만,북한의 경우 하드웨어(HW) 성격이 강한 인터넷 인프라가 취약하고 소프트웨어(SW) 기술은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초고속 네트워크나 하드웨어 기반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많은 재원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경제협력이 이뤄져 북한을 돕는다고 해도 이미 국제사회가 북한과 상황이 비슷한 몇 나라에서 경험한 바와 같이,단기적 수익을 바라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장기적인 파트너 관계를 맺고 경제발전을 지속시키기 위한 협력 형태로 전개돼야 할 것이다.

부담이 적고 실현가능한 인터넷 분야의 경제협력 방안 중 하나는,이미 확보된 우수 애플리케이션이나 영상.게임등 콘텐츠 분야를 육성해 사업화할 수 있는 "인터넷 인큐베이팅"이나 "인터넷 비즈니스 플랫폼" 사업이 아닐까 한다.

우리나라와 북한의 우수 기술인력이 힘을 합해 경쟁력있는 인터넷 기업을 만들수 있는 지원기반을 제공하고,이를 중심으로 세계에 동반 진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플랫폼 사업을 함께 전개하는 것이다.

아직까지는 북한과의 인터넷분야 경제협력은 실익보다는 명분이 강조되겠지만,이를 통해 북한이 개방체제로 전환된다면 꿈에 그리던 남북 통일도 보다 가까워지지 않을까.

이것은 남북 정상회담을 바라보는 한 시민의 바램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