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기미를 보였던 유가가 다시 급등세로 돌아서는 등 대외경제여건 변화가 심상치 않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경제로서는 변화된 여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수 있는 철저한 대비책을 서둘러 강구해야 할 시점에 이른 것 같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1달러만 올라도 연간 10억달러의 추가적인 무역수지적자를 감내해야 하는 우리경제로서는 배럴당 30달러에 육박하는 국제유가 상승은 엄청난 부담이 아닐수 없다.

미국경제의 장기호황에 따른 후유증을 걱정하는 여러가지 경고들도 간과할수 없는 과제들이다.

특히 오는 16일로 예정된 미 연준리(FRB)의 금리인상폭이 어느수준으로 결정되느냐에 따라 세계경제에 미치는 파장은 무척 클 것으로 예상된다.

예컨대 인플레 예방을 위해 현재 거론되고 있는 0.5%포인트의 금리인상이 단행될 경우 국제적인 고금리 현상을 몰고와 자칫 세계적인 경기위축으로 이어질 우려를 배제할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대외경제여건의 변화에 따른 정책과제 가운데 가장 시급한 현안은 무역수지 악화에 대비하는 일이다.

올들어 4월말까지의 무역수지 흑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10%에 불과한 7억7천만달러에 그치고 있다.

무역협회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아시아 경쟁국들 가운데 올들어 가장 큰 폭의 무역흑자 감소를 보였다.

특히 국내 수출기업들이 충분한 이윤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환율은 달러당 1천1백90원으로 지금의 원화환율이 너무 고평가돼 있다는 것이다.

무역적자가 가격경쟁력에 전적으로 좌우된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임에는 틀림없다.

올들어 무역수지의 흑자폭이 계속 줄고 있음에도 외자유입 확대에 따라 원화의 평가절상이 지속되는 현상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지 신중히 검토해 볼 문제다.

국제수지방어에 대한 정부 정책이 너무 안이한 것은 아닌지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불과 2년반전에 겪었던 외환위기의 본질이 다름아닌 국제수지 적자누적의 결과였다는 뼈아픈 경험과 교훈을 벌써 망각한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다.

지난 3월말현재 우리의 총외채가 1천4백32억달러로 전월말보다 43억달러가 증가했고,단기외채 비중이 30%이상으로 높아졌다는 통계만 놓고 보더라도 그런 의구심을 지울수 없다.

물론 효과적인 국제수지방어는 정부정책만으로 관리하기엔 한계가 있다.

지나친 소비의 절제등 모든 경제주체들의 협조가 절대적이다.

그러나 국제유가의 급격한 상승과 미국경제의 진로,세계금융시장의 변모 가능성 등은 정책의 미조정으로 대처할 일이 아니다.

하반기 경제운용방향을 서둘러 재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