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의 효시는 분명하지 않다.

1797년 미국의 리처드 젠슨이 매사추세츠 주지사 선거예측을 위해 실시했다는 기록이 있으나 과학적인 조사는 19세기초부터 이뤄졌다.

1850년엔 드보에 의해 23개국의 결혼 교육 수입등에 관한 비교조사가 단행됐고,1880년엔 투표결과와 예측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조사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작업이 시도됐다.

투표를 마친 유권자에게 지지후보를 묻는 출구조사는 1883년 테일러에 의해 개발됐다.

여기에 모집단을 대표할수 있는 표본추출법을 체계화하고 조사과정을 공개한 것은 1932년 클라우드 로빈슨이 7가지 오차요인을 찾아낸데 이어 35년 조지 갤럽이 갤럽리포트를 발간하면서부터였다.

국내의 투표자 여론조사는 95년 6.27광역단체장 선거때 처음 도입된 뒤 96년 15대 총선때 본격화됐다.

당시 39곳이나 예측이 빗나간데 대해 방송3사 모두 출구조사를 못하게 한 선거법탓으로 돌렸다.

그러나 출구조사를 바탕으로 한 이번 총선결과 예측보도에서도 또다시 오보를 내 시청자를 혼란에 빠뜨리고 방송의 공신력 또한 크게 훼손됐다.

출구조사 결과가 이처럼 틀린 것은 지지율 차이 1%내의 박빙지역이 많았던 탓이라지만 반드시 그때문만은 아니라고들 한다.

부부끼리도 누구를 찍었는지 말하지 않을 만큼 공개를 꺼리는데다 딱히 좋은정당이나 후보를 찍는게 아니라 싫은정당이나 후보가 당선되는 걸 막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게 더큰 이유라는 것이다.

정치적 성향이 분명하고 공개적인 미국과는 근본적으로 달라 출구조사로도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물론 조사방법과 분석에도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방송3사 모두 출구조사는 경합지역에서만 한데다 유권자의 나이 성별에 따른 오차분석도 정확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여론조사는 전문요원에 의해 정확하고 과학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오차범위를 무시한 선정적인 보도나 무책임한 당락판정은 조사의 공정성과 신뢰도를 의심하게 만든다.

1초라도 빨리 국민의 궁금증을 풀어주고 싶다는 의욕을 탓할 수는 없다 하더라도 정확한 보도는 언론의 생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