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보잉사의 신예 항공기 B777은 지난 96년 유나이티드 에어라인에서
운항하기 시작한 첨단기종이다.

설계도를 그리기 시작한 뒤 하늘에 실제로 띄우기까지 걸린 기간은 4년.

보통 새로운 기종의 항공기를 개발하는데 7~8년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초스피드로 만들어진 셈이다.

더욱이 이 항공기는 단 한장의 종이 설계도면 없이 컴퓨터 설계로만
제작된 항공기로 유명하다.

B777이 이처럼 짧은 기간에 종이 설계도면 한장 없이 만들어질수 있었던
것은 CALS(Commerce At Light Speed ;광속상거래)라는 혁신적인 정보통신
시스템이 활용된 덕분이었다.

CALS는 설계 개발 구매 생산 판매등의 정보를 표준화해 이를 공유하는 것.

보잉은 90년대초 이 방식을 전격적으로 채택했다.

종전 항공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설계도면대로 나무 부품을 깎아
조립해보는 과정이 필요했으나 보잉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이 과정을
무시하고 가상공간에서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항공기 제작 작업은 태평양을 사이에 두고 미국과 일본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일본 가와사키중공업과 미국 보잉 본사를 연결하는 광통신망이 모든
작업정보를 주고 받는 통로였다.

4년만에 가상공간에 있던 항공기는 현실 공간으로 튀어나왔다.

보잉의 획기적인 실험은 다른 업계의 관심도 집중시켰다.

획기적으로 높아진 생산성과 원가절감 효과 때문이었다.

종전 전체 항공기 제작비의 75%를 차지했던 설계변경 비용이 B777의
경우에는 20%로 떨어졌다.

CALS는 옛 소련과 군비경쟁을 벌이던 미국 국방부가 80년대 중반 투자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입한 개념이다.

처음엔 "컴퓨터를 통한 군수물자 구매"가 고작이었지만 미국 제조업체들이
이를 활용하면서 의미도 차츰 바뀌었다.

"제품의 탄생에서 소멸까지 전과정의 정보화"라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한 기업 단위에서 국가산업 전체, 나아가 전세계의 기업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는 개념으로 확산되고 있다.

CALS의 궁극적인 목표는 다양한 기업을 수평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한 국가 단위의 기업간 결합에 나아가 세계적인 CALS그룹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국내 기업들도 이같은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삼성은 CALS체제 구축을 위해 업무 프로세스 재조정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구미와 기흥에 있는 무선기술 생산연구소, 미국 샌호제이
멀티미디어 연구소, 인도 방갈로르의 소프트웨어 연구소를 CALS로 연결하는
3각 연구시스템을 가동중이다.

서로 다른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지만 정보를 표준화하고 수시로
교환하고 있는 것이다.

LG도 국내외 협력회사와 데이터교환을 위해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총 투자비는 4천억원에 이른다.

대우는 CALS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대우중공업 중앙연구소와 중형항공기
사업팀을 시범 대상으로 선정했다.

포항제철도 기존 전자문서교환(EDI) 시스템을 CALS로 확대하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제 CALS는 상거래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다.

일부 대기업과 달리 아직 CALS에 대한 개념조차 잘 모르고 있는 중소업체들
을 위해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을 모색해야 할 때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1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