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슈바이처"라 불리는 성산 장기여박사가 크리스마스날인
25일 새벽에 하나님 품안으로 돌아갔다.

그가 80여평생을 줄곧 어려운 길로 살아온 것은 하나님에 대한 신앙과
부인등 가족들에 대한 사랑에 있지않았나 싶다.

그는 이제 하나님은 만나게 됐지만 사랑하는 부인은 이승에서 끝내
다시 만나지 못하고 말았다.

장박사는 생전에 그의 삶이 "내가 나 아닌, 나 이상의 그릇된 모습으로
세상에 비쳐지는 것"을 항상 부담스러워 했다.

또 그는 신앙인으로서 "정말 나는 아무 일도 한 것이 없다.

내 신앙생활도 부끄러울 뿐이고 의사로서의 내 생활도, 개인으로서의
내 삶도 결코 내세울만한 게 하나도 없다"고 겸허해 했다.

장박사는 1911년 평북 용천군 양하면 입암동에서 중농의 지주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은 유복하게 지낸 편이다.

그는 부친이 설립한 의성학교를 졸업하고 개성의 송도고보에 입학했다.

한때 그는 낮엔 테니스, 밤엔 "화투놀이"로 시간을 보내다 3학년때
회개하고 기독교세례를 받는다.

그는 졸업직전 현재 북에 있는 부인 김봉숙씨와 결혼한다.

중매결혼이었다.

그러나 그는 50년 12월 차남 가용씨(현 서울대의대 교수)와 유엔군을
따라 남하한후 45년간을 독신으로 지냈다.

그는 여러번 재혼을 권유받았지만 부인에 대한 "참사랑"과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독신을 지킨 것이다.

그가 "내가 불쌍한 이웃을 위해 일하는 만큼 북에 남기고 온 아내와
아이들도 누군가의 도움을 받게 되리라"고 말한 것은 그의 가실줄
모르는 부인과 가족에 대한 사랑을 표현한 것이라 할수 있다.

다행한 일은 그가 7년전에 부인과 5남매의 생존소식을 들었고 4년전에
편지와 함께 사진을 보았다는 사실이다.

장박사는 경의전(현 서울대의대)을 수석으로 졸업하고 백인제교수의
조수가 되는등 학자로서의 장래가 촉망됐었으나 그보다 그는 임상의
길로 나선다.

그가 우리사회에 남긴 공적가운데 가장 큰 것은 무엇보다 사랑으로
베푼 인술이 아니었나 싶다.

그는 정부의 의료보험제실시보다 10년이나 앞서 행려병자등 "가난한
이웃"을 위해 민간의료보험조합인 청십자의료보험을 시작했고 청십자병원을
설립했다.

그의 평생에 걸친 사회봉사는 79년에 막사이사이 사회봉사상을 받게
한다.

그리고 그는 "망향의 한"을 품고 눈을 감았다.

삼가 그의 명복을 빈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2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