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주변에서 끊임없이 부도설이 떠돌던 우성건설에 대해 마침내
긴급자금지원이 결정됐다고 한다.

이같은 결정은 우성건설의 주거래은행인 제일은행을 비롯한 12개
은행들이 최근 여신담당 임원회의를 갖고 1,300억원을 긴급지원키로
합의함으로써 구체화됐다.

우성건설이 부도위기에 몰린 까닭은 주택경기의 침체를 예측하지
못한데다 타이어 백화점 관광등 지나친 사업다각화를 추진했기 때문이다.

이유야 어떻든 국내 도급순위 14위의 종합건설업체로서 한때 아파트건설의
대명사로 불렸던 우성건설이 구제금융 성격의 긴급자금 지원을 받게
됐다는 사실은 상당한 충격이다.

만일 우성건설이 쓰러지면 올초의 덕산그룹 부도와 유원건설의
제3자 인수에 이어 또 한차례 국내 금융시장이 몸살을 앓게 된다.

따라서 당장의 관심사는 우성건설의 부도를 막아 하청업체와 아파트분양자
그리고 관련 금융기관들이 피해를 입지 않게 하는 것일수 밖에 없었다는
점은 이해된다.

이 때문에 비록 이번 긴급자금 지원이 채권은행들이 부담을 나누어지는
협조금융 형식이지만 재경원등 관계당국도 관심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나마 우성건설의 자산가치가 양호해 금리 상환조건 등을 구제금융
차원으로 완화하지 않아도 됐던 것이 다행이다.

그러나 지난번 충북투금의 경우와 같이 언제까지 부실기업의 도산을
인위적으로 막아주어야 하느냐는 문제는 숙제로 남아 있다.

"예외없는 규칙은 없다"라는 격언대로 모든 경우를 시장자율에 맡길
수는 없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최소한 정책당국이나 관련 금융기관들이
개입해야할 객관적인 기준은 마련돼야 한다.

또 한가지 강조해야할 사항은 잇따른 부도사태및 부실기업발생으로
악화된 금융기관 경영을 정상화하고 위축된 자금순환을 촉진시킬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점이다.

지난해말 현재 지방은행을 포함한 일반은행의 부실채권은 모두 1조8,526억원
으로 총여신의 1%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이자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문제여신의 규모는 부실채권의
10배에 달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은행들의 자금공급여력은 매우 취약하며 투금사를
비롯한 제2금융권도 신용대출을 극도로 꺼리는등 자금공급을 줄여
자금난을 악화시키고 있다.

한 예로 투금사들은 우성건설에 대한 총대출 6,000여억원중 덕산
부도사태 이후 1,000억원 정도를 회수했다고 한다.

끝으로 주거래은행을 포함한 각급 금융기관들은 거래기업들의 자금흐름을
면밀하게 주시해야 할 것이다.

최근 국내 금융환경은 금리자유화 금융시장의 개방확대등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부동산거래 실명제 등으로 자산운용 행태도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예전처럼 땅을 많이 갖고 있다거나 마구잡이식으로 사업다각화를
하는 것은 떼돈을 벌기는 커녕 도산하기에 알맞다.

금융기관이건 기업이건 이같은 환경변화를 직시하고 현금흐름 개선및
부채비율 인하등 재무구조 개선을 서둘러야겠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6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