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봄철이면 겪는 범사로 산불을 하찮게 인식하기 쉽다.

그러나 지난 일요일 하루에 전국 각지 24곳에서 무려 100여 의 산림이
불탔다는 현실은 예사로 넘기기 안타깝다.

그것도 어쩔수 없는 자연발화가 아니라 화인중 실화가 81%라는
예년의 통계이상으로 사람의 실수가 대부분이라는 사실로 아픔은
더 하다.

어느 자산보다 푸른 산림의 소실을 보면 물질적 피해 걱정 이상으로
정신적인 아픔이 따른다.

아마도 울창한 숲에 대한 일종의 향심일 터이다.

따라서 산불에 대한 경각심은 단순한 소방대책 차원 이상이어야
한다.

황폐했던 산지가 20여년의 녹화끝에 이만큼 푸르러짐을 보는 포만감은
크다.

특히 대도시민에게 주변녹지의 위안마저 없었더라면 그 생활이 얼마나
삭막할까.

그럼에도 사람들은 고마움을 잊고 산에 오른다.

숲과 나무를 아끼는 것이 아니라 꺾고 짓밟고 더럽힌다.

더구나 그들은 교육 더받고 생활도 나은 계층일진대 몰라서 그럴리
없다.

최대의 책임은 나하나쯤은 괜찮겠지 하는 자기 예외적 사고방식에
있다.

또 경계할 일은 산이 푸르러지고 나서 옛날에 비해 이만하면 족하다는,어느
새 보편화된 방심이다.

몇몇 지표를 보아도 현황은 만족의 수준에서 너무 멀다.

우선 당 임목축적은 44 로 독일의 약 6분의1,일본의 3분의1 정도이며
수령 20년생 이하가 56%인데다 그나마 속성수 위주여서 목재자급률은
13% 이하의 저수준이라고 집계되어 있다.

게다가 10 미만 영세산주가 96%라는 사실 하나로 금후 임업의 전망마저
어둡게 한다.

이는 정부가 이제 다른 산업 못지 않은 열의로 새 시각에서 임업진흥책을
짜고 추진해야할 시급성을 말해 준다.

더구나 산림에는 목재 연료 버섯 산채 과일 등을 생산하는 경제기능
외에 국토보전 대기정화 수원함양 휴양림등 공익기능이 강조된다.

강수의 저장에서도 전국산림의 저수용량은 다목적댐 9개(111억t)보다
60%가 더 크다고 한다.

우리가 걸어온 산림녹화의 길은 새 국면을 맞을수 밖에 없다.

금세기초께 43 이던 임목축적이 해방 동란을 지난 72년께 11 로
최저점으로 황폐했다.

유신이후 73~87년간의 시급한 목표가 현사시나무 개발등 속성수의
육림이었음은 나무라기 힘들다.

물론 시간이 걸려도 좋은 수종을 선택하는등 장기정책을 썼어야
옳다.

그러나 오히려 녹화라도 이루어낸 충정을 높이 사야 하는것이 한국
근대사의 흐름이다.

문제는 이제부터다.

정치권이건 행정집단이건 꼭 자신의 재임중에 가시적 열매를 따겠다는
단견으로 계획을 짜지 말고 장기 중기 단기의 지속성있는 업무자세를
가져야 한다.

산불예방에서 수종선택 관련법정비에 이르는 산림정책을 상호연관아래
추진해 나가기 바란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4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