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북.고안사태 해결을 위해 현지에 다녀온후 "오지에서 어렵게
살고있는 딸네집에 다녀온 아버지의 심정"처럼 측은하고 안타까운
마음을 떨쳐 버릴수가 없다.

젊은이는 다 쩌나버리고 남은 주민들이 피폐해가는 지역을 살리겠다고
40~50대의 장년층 1백여명이 오죽했으면 삭발하고 단식투쟁에 돌입했겠
는가 .

그들은 정부가 자기들을 버렸다고 생각하고 자기들도 정부를 버리겠다고
세금도 안내고 선거도 보이코트하겠다고 결의했다.

88년 사북.고한지역 인구는 5만2천3백명이었는데 지금은 2만2천7백명으로
줄었다.

당시 석탄은 약 4백만t가량 생산하여 흥청거리던 이지역의 생산량은
작년에 2백만t으로 줄었고 금년에 또 1백만t으로 줄어들것으로 알고있다.

당시 땅한평에 25만원 하던것이 지금은 10만원이하로 떨어졌다.

새로 들어오는 사람은 하나도 없고 누구누구도 떠난다는 소문만
무성했다.

내놓은 집은 팔리지 않고 지금 어디로 떠난다 해도 마땅히 갈곳이
없고 일자리도 막연했다.

정부도 89년이후 석탄합리화시책을 추진하여 석탄산업을 위해 작년까지
2조1천5백억원을 쏟아부었다.

또 92~97년간 2천억원 규모의 탄광지역진흥 6개년계획을 집행해오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문제는 그동안 물고기만 주었지 물고기를 잡는 낚싯대를
주지않았다는데 있다.

정부가 지원한 2조1천5백억원중 1보7천2백억원을 탄가보조비용인
소비성 자금으로 다써버리고 말았다.

석탄의 국제가격이 t당 30달러인데 국내 생산원가는 1백달러로 국제경쟁력이
없는데도 회사와 근로자는 생산성향상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했다.

지금이라도 늦지않았다.

근로자들은 눈앞에 소득이 줄어든다고 팔리지도 않는 석탄을 계속
더 생산해 달라는 요구를 해서는 안된다.

정부도 물고기대신 낚싯대를 주어야 한다.

회사는 석탄으로 돈을 벌었으니 이지역에 환원하는 용기를 보여야
한다.

주민들은 과격시위에 호소하지 말고 새로 태어나는 마음가짐으로
지역경제를 살리는데 전념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3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