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경쟁력강화민간위원회(대표의장 최종현 전경련회장)는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대학교육 개선과제''를 주제로 29일 전경련회관 경제인
클럽에서 제6차 확대회의를 개최했다.

경제계가 이례적으로 대학교육개선방안마련에 나선 것은 이공계대학의
교육을 강화하지 않고는 기술개발의 기반인 연구인력확보가 어렵다는 판단
때문이다.

경제계 학계 정부 등의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이날 확대회의에서는
''국가경쟁력강화를 위한 과학기술 정책기조'' ''이공계 대학교육현황과
경쟁력 제고과제'' ''이공계 대학의 연구활동 강화방안'' ''대학재정 혁신과제''
등에 대한 주제발표와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이 있었다.

이날 확대회의에서 발표된 이공계 대학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내용별
로 요약해 정리한다.
**********************************************************************

기업이 대학에 자금 시설 현장정보를 제공하고 대학은 기업에 연구인력
기초기반기술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이 산학협동의 기본구조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경쟁력을 높이며 성장할 수 있고 대학은 연구인력을
양성하고 기초기반기술을 개발해 나간다. 산학협동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첫걸음이다.

산학협동의 기본운영방안은 대학과 참여기업의 역할분담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대학은 연구센터건설부지를 제공하고 연구인력을 참여시켜 연구결과를
도출해 내고 기업에 기초연구시설, 교육시설 사용기회를 준다.

참여기업은 연구공간 건축비를 제공하고 연구비와 운영비를 부담한다.
기업의 연구인력을 파견하거나 재교육시키거나 공동연구기회를 확대한다.

선진국의 산학협동은 제도적으로 완비돼 있다.

미국은 전국을 8개 산학협동구역으로 세분해 놓았다. 고등학교부터 지역별
협력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공과대학생들의 기업현장실습도 제도화돼 있다. 미국에는 산학협동단지도
조성돼 있다.

콜로라도주의 포론트 레인지에서는 AT&T, IBM, HP, DEC 등 1백여개 기업이
콜로라도대 덴버대등 5개대학과 협력 산학협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주의 리서치트라이앵글, 메사추세트주의 루트128
디스트릭트, 미네소타주의 메디컬밸리, 캘리포니아주의 실리콘밸리등이
대표적 산학협동단지들이다.

영국은 샌드위치시스템이라는 현장실습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현장
실습에 의한 학위수여제도가 있다.

일본은 산학연계법을 제정, 공대생의 현장실습을 제도화하고 있다. 산업체
기술인력의 2년간 대학위탁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학협동에 대한 인식이 부족 제대로 성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다. 조직적 산학협동사례가 없었다는 것도 문제다.

기업은 대학을 불신하고 그에 따라 투자의지도 결핍돼 있다. 대학은 또
기업에 대한 정보가 취약해 제대로 기업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이루어지고 있는 산학협동도 전자 기계 등 일부에 편향 투자되고
있다. 대학의 연구과제수용능력도 열악하고 한계가 많다.

특히 연구인력 및 연구개발비 분포상의 괴리가 가장 문제다.

분야별 연구인력및 연구개발비를 백분율로 비교해 보면 연구인력이 대학
연구소 기업순으로 각각 78.2% 17.3% 4.5%로 포진하고 있는데 반해 연구
개발비는 역으로 9.9% 20.5% 69.6%순이다.

대학은 실용적 기초기반기술을 연구개발하고 기술정보를 기업에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전문교수진의 확보와 시설확충이 시급하다.

전문인력을 양성, 교육해야 하고 현장실습을 강화하고 교과과정을 개편
해야 한다. 대학인력과 기업인력간의 정기적 교류를 이뤄내고 대학별
특성화(전문화)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기업도 연구개발의지를 높여 연구개발비확대를 우선적으로 이뤄내야 한다.

대학의 연구기능활성화가 곧 기업의 기술력제고라는 인식하에 장기적인
안목에서 대학에 과감히 투자해야 한다.

대학연구비 및 시설개선을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인재교육을 지원,
인턴사원제등을 확대해야 한다.

일부 대학에 편향된 지원방식에서 탈피, 대학간 자유경쟁을 유도해야
한다.

정부는 대학의 연구여건강화를 위해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산학협동참여기업에 세제 및 행정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산학협동 지원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정부주도의 컴플렉스지원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장려책으로 산학협동결과에 대한 포상제도를 강화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산학협동촉진법이 빠른 시일내에 제정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