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공은 미대 여대생이다. 이민 간 가족과 떨어져 혼자 서울생활을
한다. 그는 닥치는대로 문란한 성적편력을 한다.

학교선배와 친구의 애인,대학교수등과 마구 어울려 놀아난다. 마치
"성으로의 도피"만이 유일한 의 방법이듯이 아무런 죄책감도 안느낀다.

마광수교수(41.연세대)의 소설 "즐거운 사라"때문에 드디어 저자는
철창신세를 지고있다. 그건 문학의 이름으로 포장된 포르노물이라는게
검찰측의 해석이었다.

가뜩이나 세상도 시끄러운데,한편의 소설때문에 찬반쪽으로 나뉘어
목청들이 높다. 69년 박승훈의 "<>년구멍과 뱀과의 대화"와,73년
염재만의 "반노"이후 처음 있는 일이어서 사회적 물의가 요란하다.

"그 남자와 함께 벌인 정사는 정말 싱겁고 재미가 없었다. 그는 사전
에 전희라는 단어가 있다는것도 모르는지,나를 침대위에 눕히자마자 옷
도 벗지 않은채,허겁지겁 바지단추를 풀고 그 알량한 물건 하나만을
달랑 꺼내놓았다.""그녀석은 아주 작고 말랑말랑해져 있을때 더 귀엽고
예쁘다.

그럴때 남자의 심벌은 갖고 놀기에 아주 좋은 장난감이 된다." 헨리
밀러의 "북회귀선"이 민망할 정도의 대담하고 솔직한 표현이다.

이것을 현직 대학교수가 쓴것이 더욱 모가 나고 사회통념에 거슬렸다
고 볼수있다. 하일지의 "경마장 가는길"과 장정일의 "너에게 나를
보낸다",하재봉의 "블루스 하우스"등도 아슬아슬한 수위의 작품들이다.

사실 춘원 이광수이후의 소설들은 완강한 도덕주의의 껍질만을 씌워왔
다.성에 관한 한 숫제 금단지역이었다. 그러나 오늘의 독자는 60년대
출생의 팝문화세대가 태반이다.

사회적 치부와 욕구불만을 섹스의 자유로 분출시킨다.작가도 성의 리얼
리티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했다고 고백했지만,"즐거운 사라"의 모델들
은 날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통속적인 엔터테인먼트(오락물)가 문학은 아니라는 것이 검찰이 주장하
고픈 대목이지만,문단에서는 공권력까지 개입시켜 표현자유를 간섭하는
건 옳지 않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아무튼 성의 상품화시대를 개탄하지 않을수가 없다. 고야가 그린 마야
의 나체는 어찌하여 예술일수 있는가. 아무리 위선의 도덕주의가 밉보일
지라도 성을 노리개 삼는것이 작가들의 사명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