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백여개의 사내직업훈련소가 현대화되는등 직업교육훈련제도가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또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인문고재학생은 1년앞당겨 2학년부터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경제기획원은 1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한 직업훈련제도 개선방안을
마련,빠르면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개선방안은 강봉균경제기획원차관보를 단장으로한 정부시찰단이 최근
독일과 일본의 직업훈련제도를 둘러본 결과를 바탕으로 마련된 것이다.

경제기획원은 이 방안에서 대기업들이 주로 운용하고 있는 5백여개의
사내직업훈련소를 점검,매년1백여개를 현대화하는 내용의 5개년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이에 필요한 재원은 내년부터 2배정도로 늘어나는
국민연금기금과 오는 95년부터 도입예정인 고용보험기금등에서 지원할
예정이다.

기업체의 직업훈련소를 대폭 확충하고 시설을 현대화해 인문계
비진학생들에대해 2학년부터 기업체 직업훈련을 받을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 공공직업훈련원이나 사업내 훈련원등에서 담당토록해 2학년초부터
공고생을 수용,직업훈련을 시켜줄 계획이다.

공고생에 대해선 이론과 교양과목을 대폭축소하고 학생정원을 늘려
공고지망생들이 더많이 입학할수 있는 길을 터 주기로 했다.

1학년은 학교에서 가르치되 2~3학년은 주1~2일정도만 학교에서 교육받고
나머지 기간은 공공직업훈련원에서 실습교육을 받을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개선시킨다는 내용이다.

이와함께 옥포엔 조선공고,창원엔 자동차공고나
금속기계공고,구미전자공고등 지역산업구조에 맞게 전문화하는 방안도
강구중이다. 주요 시도에서는 지방상공회의소가 직종별 인력수요를 파악해
학교당국과 협의할수있는 제도도 함께 마련할 예정이다.

또 전문대나 대학출신의 현장인력이 많은 점을 고려,일정한 기능자격이
있는 사람은 최소한의 교직과목을 이수하면 교사자격을 부여할 방침이다.
이들을 공고와 기업체훈련소에 배치하고 기존의 공고교사들에 대해서는
실습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정부는 앞으로 이같은 구상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위한 중장기계획을
마련키로했다. 이를위해 한국개발연구원(KDI)생산기술연구원 교육개발원
인력관리공단등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전문기구를 구성,구체적인 방안을
인력정책심의회에 보고토록할 방침이다.

정부가 이처럼 직업훈련을 대폭 강화키로 한것은 기업체 스스로 필요한
기능인력을 양성토록 돼있는 현행 사업체내 직업훈련이 저조한데에
그원인이 있다. 작년의 경우 2천7백여개의 직업훈련의무대상업체중
19%만이 훈련을 실시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능인력난을 타개하기위해 공장자동화를 추진하는 방안이 있으나
기술축적이 어렵고 자동화기계를 계속 일본등지에서 수입해야 하는등
단기적인 해결책일뿐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