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급속한 발전으로 세계시장에서의 셰어를 확대해온
우리나라 반도체산업이 미국 EC 일본등 이 부문의 선발국들로부터 기술과
시장면에서 견제와 압력을 받아온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올들어 미국
EC에 수출한 우리 반도체제품들에대해 늘고있는 반덤핑제소도 바로 그런
견제의 노골적인 발동인 것이다.

그런데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우리정부와 해당업계에대해 미국
EC 일본등이 포함된 다자간 반도체협상에 참가할것을 요구해온 것으로
알려져있다. OECD의 다자간협상에의 참가여부를 놓고 국내 반도체업계는
아직 통일된 대응방침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데 볼란의 소견으로는 이
문제는 참가를 기피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생각이다. 그러한 국제회의는 우리 반도체산업에 관해 오해가 있는 부분이
있으면 자진 해명.설득하고 또 제기될지모르는 시장점유율 가격등의
조정이나 규제가 우리업계의 어깨너머로 선발국들의 일방적 결정에의해
처리되는것을 막을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비약적발전을한 우리 조선산업이 지난90년 OECD조선부회에 가입한 이래
건조물량과 수출가격을 감시받아왔던 전철때문에 우리 업계안에는 OECD내
컴퓨터 통신정책 통상위원회에 가입할 경우의 우리반도체산업이 받을지도
모르는 불이익과 타격을 경계하는 의견이 없지않아 다자간 협상수용을
망설이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반도체의 경우 확실한것은 시장점유율이
커져 미국지역의 25%,유럽의 20%정도를 차지하기에 이른 한국산
메모리제품에대해 선발경쟁국가들이 가만히 방임한채 지나치지는
않을것이라는 점이다. 수요성장상품인 반도체시장을 후발국인 한국의
점유율확대에 내맡긴다는것은 자국의 반도체산업에의 위협을 조장하는것이
되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반도체제품의 수출이 증가하는한 이를
억제하려는 선발경쟁국들에 의한 규제와 견제가 강화됨을 의미한다.
이경우 한국이 협상에 참가하지 않아도 미국 EC 일본의 3자간 협의만으로
시장과 가격을 조성하여 이를 OECD의 장으로 확대할수 있게 돼있다.

이러한 OECD의 다자간협상에서 참가와 기피 거절중 어느것이 우리업계에
이로운 것인지는 자명하다.

우리 반도체업계는 이제 우리의 유망성장산업인 반도체산업을
국제적무역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 OECD회의를 활용하는
적극 전략을 다듬어야 할 때다.

그리고 동시에 기술.가격.품질면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는 정부의
산업정책과 업계전략이 지금까지보다 더 큰 강도로 추진돼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