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업단지의 집중 개발에 따른 용지난의 완화, 공장용지 분양가격의
상승, 불투명한 경기전망 등으로 공업단지의 분양실적이 70%에도 못미치고
있으며 이미 체결된 분양계약마저 입주를 포기하는 업체가 늘어나고 있다.
1일 전국 주요 공단관리사업소가 집계한 공업단지 분양실적에 따르면
지난해에 공급할 계획이던 18개 공단 6백2만평과 45개 농공단지 2백25만평
등 8백27만평 가운데 분양이 완료된 것은 13개 공단 4백41만평과 29개
농공단지 1백27만평 등 5백68만평에 그쳤다.
또 기업의 자금사정 악화로 이미 분양계약을 체결한 업체들이 입주를
포기하는 사례가 늘어나 전주3공단, 이리2공단, 대전4공단, 대불공단,
시화공단, 남동공단 등 6개 공단에서 전체 입주계약업체의 7.5%에 달하는
1백38개 업체가 전체 계약면적의 19%에 달하는 1백2만4천평에 대해 입주를
포기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에 미분양 사태가 발생한 공단은 전주3공단, 이리2공단, 대전4공단,
울산 지역, 아산국가공단 등으로 전주3공단은 50만평을 공급할 계획이었
으나 입주업체의 자격을 첨단업종으로 제한함에 따라 분양실적이 44만
2천평에 그쳤으며 이리2공단은 30만평 분양예정에 수요부진으로
21만6천평만이 분양됐다.
대전4공단은 분양가가 평당 57만원으로 크게 높아 당초 공급예정이던
42만평 가운데 32만2천평만이 분양됐고 울산지역도 분양가가 평당
65만원에 달해 공급이 계획됐던 30만평 가운데 24만7천평만이 분양되는데
그쳤다.
특히 아산국가공단은 지난해 11월 2백30만평을 분양공고했으나
분양가가 평당 43만-50만원에 달하고 이전적지 관리기준이 엄격해 14개
업체가 82만평만 분양을 신청, 분양실적이 35.7%에 그치는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농공단지의 경우도 입지수요가 많은 충남북 지역 등은 농공단지 지정이
완료됐으나 낙후 농어촌 지역은 근로자 확보의 어려움 등에 따른
수요부진으로 당초 공급할 계획이던 45개 업체, 2백25만평 가운데 29개
업체, 1백27만평만이 지정돼 지정실적이 56.4%에 그쳤다.
한편 이미 분양계약을 체결한 업체들이 자금부족 등으로 입주를
포기하고 있는 공단 가운데 특히 대불공단은 당초 63개 업체가
1백37만5천평에 대한 입주계약을 체결했으나 절반에 가까운 33개업체가
60만평에 대한 입주를 포기했고 6백7개 업체가 1백84만9천평에 대한
입주계약을 체결했던 시화공단도 27개 업체가 15만1천평에 대한 입주를
포기했다.
공단관계자들은 지난 89년 이후 4백만-5백만평 이상의 공장용지가
공급되는 등 공업단지가 집중개발됨에 따라 공장용지 부족현상이 크게
완화된데다 기업들이 과거에는 장기투자계획에 의해 공장용지를 사전에
확보하거나 땅값 상승 등을 기대해 필요이상의 공장용지를 확보하려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경기전망이 불투명해짐에 따라 설비투자에
신중을 기해 과다한 공장용지 확보를 회피하고 있어 이같은 미분양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또 공장용지 분양가격이 89년에 32%, 90년에 21%, 지난해에
11%가 각각 오르는 등 공시지가제도 실시 이후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여
기업들이 자금부족으로 공장용지를 신규로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