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장애인 대부분이 기술자격증을 요하는 전문직종보다는 단순업무에
근무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직업훈련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한 장애인고용 의무가 있는 근로자 3백인이상 기업체들이 장애인을
위한 편의 시설 및 복지.후생시설 설치에 무관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7일 노동부산하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이 발표한 `장애인 취업실태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6백45개 업체의 장애인 근로자 2천7백51명중
78.4%가 기술기능에 적합한 자격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별로는 정신지체자의 97%가, 청각.언어장애자는 84.2%,
지체장애자는 77.1%, 시각장애자는 74.7%가 자격증을 갖지 못했다.
장애인고용촉진법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한 선결사항을 묻는 질문엔
조사대상 기업체의 43.4%가 `장애인에 대한 인식전환''을 꼽았고 다음은
`장애인에 대한 직업훈련 강화''(25%), `장애인 고용업체에 대한 지원금
혜택''(11.7%), ''장애인 고용관리 및 기술지도''(10.9%)등을 지적했다.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로는 계단난간과 진료실의 경우 이들 업체의
절반이상에 설치돼 있었으나 건물내 경사로, 장애인용 승강기, 지체
장애인용 대.소변기 및 세면장등을 설치한 업체는 거의 없는데다가
80%이상이 앞으로도 이러한 장애인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다.
이번 실태조사결과 장애인취업자의 학력은 고졸(60.1%)이, 연령은
30세이상(75%)이, 직종별로는 생산 및 관련직 종사자(48.4%)가 가장
많았다.
월평균 임금수준은 절반정도(49.3%)가 상여금을 포함해 71만원 이상을
받고 있으며 특히 1차 금속산업에 취업한 장애인은 71만원 이상이
90.8%에 달했다.
기업체가 장애인고용을 회피하는 이유로는 장애인이 수행할 구체적
업무분야가 없어(65.1%)<>직업훈련 및 취업알선 활동 불충분(14.8%)
<>장애인 능력부족에 따른 작업능률 저하(7.9%)순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장애인 취업시 중요한 점은 장애인 본인의 노력(47.8%),
기업인의 인식( 27.8%), 국가의 정책(16.3%), 주위 동료의
태도(5.7%)등이고 채용경로는 공개채용(3 2.3%), 공공기관알선(24.2%),
연고모집(24%), 장애인단체(6.1%)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