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백대기업 최고경영자들, 물가상승 크게 우려
국내 주요기업 최고경영자들은 올해 경제환경중 국제원자재가 상승으로
인한 물가의 과도한 상승,수출부진에 따른 매출부진등을 우려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와 고용증가가 예년에 비해 크게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은 또 공공요금은 현행수준에서 동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면서 올해는 임금인상이 가장 큰 노사쟁점이 될 것이나 노사관계는
지난해와 유사하거나 다소 안정될 것으로 비교적 낙관적인 견해를 보였다.
15일 경총이 내놓은 1백대 기업 최고경영자 새해 경제전망조사에
따르면 최고 경영자들의 54%가 올해 물가는 지난해(8-9%)보다 높은 10-15%
정도 오를 것으로 전망, 올해 물가에 대해 크게 불안해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원자재 가격상승(87.2점), 인건비상승(68.6점), 통화증발(59.8점)등에
기인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같은 물가상승을 막으려면 정부의 긴축정책(38.3%)이 가장 중요하며
다음으로 임금안정(29.8%), 원자재가격 안정(25.5%,유가제외) 등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수출부진에 따라 내수가 생산활동을 주도할 것으로 내다보면서
응답자의 33.0%가 전년비 11-20%의 증가를,43.0%는 10%이하의 증가를
예상, 지난해보다 매출이 부진할 것으로 추측했다.
수출에 관해서는 응답자의 56.3%가 10%미만의 증가율을 실현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18.4%는 오히려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하는등 매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는데 수출시장의 장애요인으로는 가격경쟁력 저하
(44.7%)와 세계경기 침체(23.7%), 기술수준 낙후(15.8%) 등이 지적됐고
수출상품에 대한 바이어들의 불만요인으로는 가격(46.8%),품질(30.4%),
납기지연(15.2%) 등이 강조됐다.
조사대상기업의 63.3%가 전년비 10% 이하의 투자증대나 현상유지
내지 감소를 계획하고 있는 등 투자신장률이 예년에 비해 저조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규투자를 계획하지 않는 이유로는 시장수요 전망 불투명
(44.9%), 기존시설 충분(26.5%), 자금부족(18.4%) 등을 들었다.
고용과 관련, 전체 응답자의 44%가 올해는 자연감소분만을
보충하겠다고 답했고 24%는 4%미만의 증원을, 7.0%는 감원이
불가피하다고 말해 고용사정이 매우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러한 가운데 생산직과 기술연구직은 고용증가가 크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돼 생산직과 기술연구직은 구인난까지 나타날 것으로
우려됐다.
최고경영자들의 71.7%가 공공요금에 대해 현행수준 동결을
바람직하다고 주장했고 19.2%는 인상 불가피론을 폈다.
유가에 대해서는 47.5%가 배럴당 20-25달러로,29.3%는 25-30달러로
예상했으며 통화공급에 관해서는 37.8%가 현행수준 유지를, 33.6%가
감축을, 28.6%가 증대를 각각 기대했다.
올해 예상되는 경영애로사항으로는 유가인상(22.8%)을 가장
비중있게 꼽았고 다음으로 자금부족(17.5%), 인력 확보난(14.0%),
노무비 증가(13.2%), 노사분규(10.5%)등이 지적됐다.
노사관계는 45.9%가 지난해와 유사,28.6%는 다소 안정될 것으로
대답, 전체의 74.5%가 비교적 낙관적인 견해를 보였는데 올해 노사
관계의 주요쟁점으로는 임금인상이 51.5%로 제일 큰 비중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복리후생(34.0%), 근로조건개선(9.3%) 등이었다.
인한 물가의 과도한 상승,수출부진에 따른 매출부진등을 우려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와 고용증가가 예년에 비해 크게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은 또 공공요금은 현행수준에서 동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면서 올해는 임금인상이 가장 큰 노사쟁점이 될 것이나 노사관계는
지난해와 유사하거나 다소 안정될 것으로 비교적 낙관적인 견해를 보였다.
15일 경총이 내놓은 1백대 기업 최고경영자 새해 경제전망조사에
따르면 최고 경영자들의 54%가 올해 물가는 지난해(8-9%)보다 높은 10-15%
정도 오를 것으로 전망, 올해 물가에 대해 크게 불안해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원자재 가격상승(87.2점), 인건비상승(68.6점), 통화증발(59.8점)등에
기인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같은 물가상승을 막으려면 정부의 긴축정책(38.3%)이 가장 중요하며
다음으로 임금안정(29.8%), 원자재가격 안정(25.5%,유가제외) 등이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수출부진에 따라 내수가 생산활동을 주도할 것으로 내다보면서
응답자의 33.0%가 전년비 11-20%의 증가를,43.0%는 10%이하의 증가를
예상, 지난해보다 매출이 부진할 것으로 추측했다.
수출에 관해서는 응답자의 56.3%가 10%미만의 증가율을 실현하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18.4%는 오히려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하는등 매우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는데 수출시장의 장애요인으로는 가격경쟁력 저하
(44.7%)와 세계경기 침체(23.7%), 기술수준 낙후(15.8%) 등이 지적됐고
수출상품에 대한 바이어들의 불만요인으로는 가격(46.8%),품질(30.4%),
납기지연(15.2%) 등이 강조됐다.
조사대상기업의 63.3%가 전년비 10% 이하의 투자증대나 현상유지
내지 감소를 계획하고 있는 등 투자신장률이 예년에 비해 저조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규투자를 계획하지 않는 이유로는 시장수요 전망 불투명
(44.9%), 기존시설 충분(26.5%), 자금부족(18.4%) 등을 들었다.
고용과 관련, 전체 응답자의 44%가 올해는 자연감소분만을
보충하겠다고 답했고 24%는 4%미만의 증원을, 7.0%는 감원이
불가피하다고 말해 고용사정이 매우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러한 가운데 생산직과 기술연구직은 고용증가가 크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돼 생산직과 기술연구직은 구인난까지 나타날 것으로
우려됐다.
최고경영자들의 71.7%가 공공요금에 대해 현행수준 동결을
바람직하다고 주장했고 19.2%는 인상 불가피론을 폈다.
유가에 대해서는 47.5%가 배럴당 20-25달러로,29.3%는 25-30달러로
예상했으며 통화공급에 관해서는 37.8%가 현행수준 유지를, 33.6%가
감축을, 28.6%가 증대를 각각 기대했다.
올해 예상되는 경영애로사항으로는 유가인상(22.8%)을 가장
비중있게 꼽았고 다음으로 자금부족(17.5%), 인력 확보난(14.0%),
노무비 증가(13.2%), 노사분규(10.5%)등이 지적됐다.
노사관계는 45.9%가 지난해와 유사,28.6%는 다소 안정될 것으로
대답, 전체의 74.5%가 비교적 낙관적인 견해를 보였는데 올해 노사
관계의 주요쟁점으로는 임금인상이 51.5%로 제일 큰 비중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복리후생(34.0%), 근로조건개선(9.3%) 등이었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