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지난해 관광레저분야 소비지출액이 약 22조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관광사업체 가운데 98%는 지난해보다 평균 65% 매출이 감소하면서 운영자금 부족에 따른 자금압박으로 고용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또 관광사업체 10곳 중 7곳 이상은 시장회복 시점을 짧게는 올 하반기, 길게는 내년 하반기로 예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코로나19의 관광산업 영향과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8월까지 관광레저소비 지출액은 93조76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조9801억원(-19%)이 줄었다. 내국인 지출액은 92조4561억원으로 18조7280억원(-16.8%)이 줄고, 외국인은 3조2521억원(-71.3%)이 준 1조3101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전년 대비 79.6%가 준 여행업에 이어 면세점(-70.6%)과 카지노(-69.6%), 항공사(-69.4%), 관광기념품 판매업(-57.5%), 관광숙박업(-42.3%) 등 전체 업종에서 지출규모가 큰 폭으로 줄었다. 코로나19 여파로 여행은 물론 항공, 숙박, 대중교통 등 연관산업 업종의 피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렌터카만 소비지출이 5.3%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관광레저소비 지출 감소의 영향은 관광사업체 매출 감소로 이어졌다. 관광진흥법상 7개 업종의 500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한 피해실태 조사에서 97.8%가 지난해(1~9월) 매출이 줄었다고 응답했다. 매출액 감소 비율은 평균 66.6%로 국제회의업(-84%)과 여행업(-83.3%), 외국인관광 도시민박업(-77.7%), 카지노업(-71.1%) 등 입국제한과 2주간 자가격리 조치에 직접적 영향을 받은 업종의 매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관광사업체 매출 감소에 따른 영향이 운영자금 부족에 따른 자금압박에 이어 고용위기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조사대상 관광사업체 중 절반이 운영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유·무급휴직(50.2%)과 교대·단축근무(18.8%), 임금삭감(8.6%) 등의 조치를 시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인력감축, 이직 등 사유로 근로자가 퇴사한 곳도 60%가 넘었다.

관광사업체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영향이 앞으로 1~2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올 하반기부터 서서히 시장이 회복될 것이라는 응답은 31.4%, 2022년 상반기는 17.6%, 하반기는 23.4%였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지원정책으로는 저금리 운영자금 융자, 융자금 상환유예 등 '금융지원'(99%)과 국세와 지방세 납부기간 연장 등 '세제지원'(96%)을 꼽았다. 고용유지지원금 상향지원 확대, 4대 사회보험 유예 및 감면, 특별고용업종 지정 등 '고용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도 88.4%에 달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코로나19 장기화로 관광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중장기적 관점의 지원정책 그리고 비대면 문화와 디지털 수요 증가에 맞춘 새로운 콘텐츠 개발과 기술 도입, 관광사업체 고용안정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선우기자 seonwoo.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