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보는 조선시대 규방문화의 소산이다. 엄격한 유교사회에서 사회적 활동이 제한된 양반집 규수들의 생활 공간이던 규방에서 생성된 생활예술이었다. 조각천을 활용해 기하학적이고 창의적인 패턴의 멋스러운 디자인을 생활 속에 활용하고 예물용 및 장식용으로 많이 제작했다. 구성과 색채의 아름다움과 절묘함을 갖춘 조각보는 최근 현대미술의 이색적인 소재로 활용되기도 했다.

추상화가 문혜경 씨(60)는 조각보에서 작업의 영감을 얻거나 응용하는 대표적인 작가로 꼽힌다. 상명대와 홍익대 미대 대학원에서 미술을 전공한 문씨는 천을 박음질하고 콜라주하는 방법으로 화려한 색채의 평면을 구현해왔다.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고 있는 조각보 추상화가 문혜경 씨.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고 있는 조각보 추상화가 문혜경 씨. 강은구 기자 egkang@hankyung.com
문씨가 오는 22일까지 서울 중림동 한국경제신문사 1층 한경갤러리에서 개인전을 펼친다. 2015년 롯데갤러리 초대전 이후 3년 만에 여는 이번 전시회의 주제는 ‘색을 짓다’. 천 조각을 침선으로 잇대어 아기자기한 화면을 구성한 대작 30여 점을 걸었다. 작은 천조각이 만들어낸 화면에서 색다른 미감을 엿볼 수 있다.

문씨는 “유난히 한복을 즐겨 입던 친정어머니의 숭고한 사랑에 관한 얘기를 어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 시각 언어로 담담히 써내려갔다”고 말했다.

젊은 시절 서양의 추상화 장르에 전념하던 문씨가 처음 조각보 작업을 시작한 것은 1999년이다. 유방암 진단을 받고 투병생활을 하던 중 아픔을 잊기 위해 조각보 아트에 빠져들었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란 생각에 2005년부터 염색과 마름질, 자수 등을 배워 색면 추상화 작업에 몰입했다. 바느질로 한 땀 한 땀 천 조각을 잇고 붙여 과거와 현재가 관통하는 미학으로 재탄생시켰다.

고통스런 순간을 잊은 채 살아가는 사람들의 사랑과 꿈·행복·애환을 담아내려 애쓰면서 젊은 시절 아련한 기억을 무한한 상상력과 생명력으로 되살려냈다. 최근에는 친정어머니가 입었던 한복을 소재로 활용해 가슴 한쪽 숨겨둔 모성애를 표현해내고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인 조각보와 한복을 기하학적 무늬로 추상의 세계를 승화한 그의 작업은 파격이었다. 청(靑), 적(赤), 황(黃), 백(白), 흑(黑)의 다섯 가지 기본색인 ‘오방색’의 천조각으로 박음질하고 콜라주한 구성은 독특한 재미와 더불어 색면에 탄력이 실려 빛을 발한다. 알록달록한 화면들은 극도로 절제된 구도 속에 밑에서부터 색이 배어 나오도록 여러 겹 수놓은 복잡한 색면으로 구성돼 사색적이고 시적이며 또 종교적이기도 하다.

문씨는 자신이 조각보에 반한 이유에 대해 “조선시대 규방문화의 소산인 조각보의 아름다운 구성과 색채에서 영감을 받았다”며 “어떤 색과도 어울리는 그 포용력이 내 마음을 사로잡았다”고 답했다. 문씨는 이 전시회가 끝난 뒤 다음달 8일부터 두 달간 포항시립미술관에서 초대전을 연다.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