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촌토성1
한성 백제의 유적인 몽촌토성(사적 제297호)이 풍납토성의 배후 성이 아니라 풍납토성과 짝을 이루는 도성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규모 도로 유적이 나왔다. 문화재청은 14일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이 몽촌토성을 발굴조사한 결과 토성의 북문터 안쪽에서 삼국시대 포장도로 5기. 북문터 바깥에서 삼국시대 도로 1기와 통일신라시대 도로가 확인됐다고 14일 발표했다.
북문터 안쪽에서 확인된 5기의 도로는 격자모양으로 구획된 포장도로로, 가장 큰 것은 폭이 13m에 이른다. 특히 북문을 통과하는 문도(門道)와 일직선으로 연결되는 1호 도로는 백제가 처음 개설해 사용한 후 고구려가 그 위에 도로를 개축해 이용한 중층도로로 조사됐다. 또 도랑을 사이에 두고 나란히 조성된 또다른 도로가 있는 것으로 봐 1개의 도로가 3개의 노면으로 이뤄진 ‘1로(路)3도(道)’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몽촌토성2
발굴된 도로는 몽촌토성 안쪽에서 시작돼 북문을 지난 뒤 바깥으로 나가 40m 정도 이어지다가 풍납토성 방향인 북서쪽으로 휘어진다. 풍납토성은 몽촌토성에서 약 700m 떨어져 있는데 이 도로가 두 성을 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박중균 한성백제박물관 책임조사원은 “발굴된 도로는 풍화토와 잡석, 점토를 섞어서 워낙 단단하게 다져 수레바퀴 흔적이 남지 않았다”며 “여러 모로 상당히 공들여 만든 도로”라고 말했다.

구덩이 흔적 18기, 고랑 터 1기를 비롯해 관청을 의미하는 ‘관(官)’자가 좌우가 바뀐 채 찍힌 토기 조각도 출토됐다. 이 토기는 4~5세기 백제 한성도읍기를 대표하는 양식인 직구단경호(直口短頸壺·주둥이가 곧고 입이 짧은 항아리)다. 박 조사원은 “대규모 도로 유적과 ‘관’자 토기는 몽촌토성이 백제의 또 다른 도성이었음을 입증하는 유물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대규모 도로 유적과 연결된 또 다른 도로 유적에서는 고구려가 길을 개축하면서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사각형 회전 교차로를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혁희 한성백제박물…관 조사원은 “이미 1980년대 몽촌토성 발굴에서 고구려 토기가 많이 출토됐다”며 “이번 발굴 결과로 고구려가 몽촌토성을 함락시킨 뒤 철군한 것이 아니라 점유·활용했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됐다”고 설명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