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 고배에 남북 공동등재 무산, '중국문제'도 곤혹

아리랑이 한국의 무형유산을 넘어 세계의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기까지의 과정은 녹록지 않았다.

등재 시도가 한 차례 무산되기도 했고, 아리랑을 자국의 문화유산으로 지정한 중국의 움직임이 감지됨으로써 이를 중국에 빼앗기는 게 아닌가 하는 각계에서 우려 또한 높아진 일도 있었다.

문화재청은 2009년 8월 가곡·대목장·매사냥 등과 함께 '정선 아리랑'을 유네스코의 인류무형유산 신청목록에 올렸다.

그러나 유네스코 사무국이 인류무형유산 심사를 받을 수 있는 국가별 할당 건수에 제한을 두기로 함에 따라 '정선 아리랑'은 심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후 2년간 '아리랑'의 인류무형유산 등재는 답보 상태에 머물렀다.

그러다 지난해 6월 중국이 '아리랑'을 조선족 전통민요·풍습과 함께 자국 국가무형문화유산에 등록하면서 '아리랑'을 하루빨리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등재해야 한다는 의견이 각계에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아리랑'을 이용해 또 다른 '동북공정'을 시도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타냈다.

이후 '아리랑'의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위한 정부의 발걸음은 빨라졌다.

문화재청은 한반도 전 지역의 '아리랑'을 북한과 공동 신청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고 지난 8월 남북역사학자협의회를 통해 이러한 의사를 북측에 전달했다.

하지만 공동 등재가 본격 추진되기도 전인 같은 해 12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하면서 대화 창구가 닫히는 바람에 이 같은 시도는 무산됐다.

이에 문화재청은 결국 지난 1월 '아리랑'을 심사 우선순위로 선정한 데 이어 6월 남한 단독으로 '아리랑'을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해달라는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문화재청은 신청서에서 기존 강원도 정선 지역의 '아리랑'으로 제한한 부분을 "후렴구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로 끝나는 일련의 노래군"으로 확대했다.

발생 지역과 시대에 제한을 두지 않아 북한과 해외 아리랑도 포괄하려는 목적이었다.

또 노래의 특성으로 ▲지역별로 독특한 가락과 노랫말이 존재한다는 점 ▲처한 환경이나 기분에 따라 즉흥적으로 지어 부를 수 있다는 점 ▲지역과 세대를 초월해 광범위하게 전승된다는 점 등을 들어 '아리랑'의 가치를 강조했다.

'아리랑'의 인류무형유산 신청에 대한 각계의 관심도 뜨거웠다.

배우 차인표 씨가 '아리랑 지킴이'로 나선 '천지진동 페스티벌II-아리랑 아라리요 페스티벌'이 6월 수원에서 열렸고, 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네티즌을 대상으로 '아리랑 광고' 프로젝트를 벌이기도 했다.

등재 확정에 청신호가 켜진 것은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심사보조기구가 아리랑의 유산 가치를 인정해 '등재 권고' 판정을 내리면서다.

지난 11월 초 유네스코가 기구의 같은 결정을 유네스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알리면서 아리랑의 등재가 확실시됐고, 마침내 5일 위원회는 아리랑의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최종 확정했다.

(서울연합뉴스) 서혜림 기자 hrse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