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담 서경덕,박연폭포와 함께 '송도3절'로 꼽히는 황진이가 소리극으로 환생한다. 국립국악원이 오는 26~29일 서울 국립국악원 예악당 무대에 올리는 대표 브랜드 공연 '황진이'를 통해서다. 국립국악원 대표 브랜드 공연은 국악원만의 전통,인력,노하우 등을 바탕으로 동시대인이 공감할 수 있게 만든 작품.이번 무대는 지난 5월 '세종,하늘의 소리를 듣다'에 이어 두 번째 마련한 대표 브랜드 공연이다.

황진이는 신분의 한계를 넘어서 서경덕 등 일류 문사와 시로 마음을 주고 받았고 삼종지도,칠거지악 등 여성의 굴레에서 자유로웠던 인물로 전해진다. 그가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시들은 독창적인 이미지와 형식미,상징성으로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박일훈 국립국악원장은 "다재다능한 예술가였던 황진이야말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 아이콘"이라며 "이번 공연 이후 작품을 계속 고쳐 국립국악원의 대표 브랜드 공연으로 안착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공연의 줄거리는 기존의 것과 대동소이하다. 황진이가 기생이 되는 동기를 보여주는 것을 시작으로 기생 입문 과정,선비들과의 교류,지족선사와 벽계수를 파멸시키는 장면에 이어 서경덕을 만나 위로 받고 진정한 사랑을 배우는 삶의 여정이 드라마처럼 전개된다.

이 작품은 경기민요,서도민요를 중심으로 판소리,정가 등을 곁들이고 가야금,거문고,대금,아쟁 등 국악기 외에도 바이올린,비올라,첼로 등 서양악기도 활용했다. 특히 경기,서도 민요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서양음악에 익숙한 대중들을 위해 서양음악어법에 맞게 노래를 새롭게 작곡했다.

서양 오페라처럼 등장인물들이 분창(分唱)하는 것도 특징이다. 판소리 등 우리 전통음악에서는 배역을 나눠 노래를 부르는 경우가 드물다. 연출을 맡은 김효경씨는 "공연을 준비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것이 남녀 혼창 부분이었다"며 "음정을 여자에게 맞추면 남자의 음색이 죽고 남자에게 맞추면 여자가 힘을 쓰지 못해 곤란했다"고 설명했다.

극본은 김용범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가 '청산리 벽계수야''상사몽' 등 황진이의 시조 8편과 '동지음''마음이 어린 후니' 등 서경덕의 시조 4편 등 총 13개 한시를 쉽게 우리말로 풀어써서 구성했다.

볼거리도 풍성하다. 교방무,입춤,장구춤,검무,태평무 등 민속무용과 승무,바라,나비 등 불교 무용의 다채로운 춤사위는 물론 조선시대 선비들의 놀이문화도 맛볼 수 있다. 황진이 역은 경기민요 이수자인 최수정이 맡고 서경덕 역은 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인 이정규가 연기한다. (02)580-3300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