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흥왕 15년(528) 불교 공인 이후 신라 최초의 사찰 흥륜사지(興輪寺址.사적 15호)에 있었던 신라 사찰은 회랑 내곽만 넓이가 4천평에 달하는 초거찰이었다는 견해가 나왔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신창수 유적조사실장은 곧 발간될 동국대 경주사학회 기관지「경주사학」 21집에 기고한 '흥륜사의 발굴성과 검토'라는 글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흥륜사 절터 규모에 대한 학계의 언급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의 흥륜사지는 흥륜사가 있던 곳으로 알려졌으나 '令妙寺'(영묘사) 혹은 靈妙寺'(영묘사)라는 글자를 새긴 기와가 출토됨으로써 또 다른 신라 사찰인 영묘사터라는 견해가 제시되는 등 이를 둘러싼 격렬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신 실장은 이 논문에서 현재의 흥륜사 사적지가 흥륜사인지 영묘사인지에 대해서는 판단을 유보했다. 대신 1972년 경부고속도로 진입로 개설공사 때 절터 서북쪽 서측 회랑지로 추정되는 건물터를 확인한 것을 시발로 1981년까지 이 일대에 산발적으로 서너 차례 진행됐던 발굴성과를 토대로 절터의 구조와 축조시기 및 규모 확인에 주력했다. 그 결과 이곳에 자리했던 사찰은 중앙의 탑을 중심으로 금당과 강당, 중문(中門)을 남북 일직선으로 배치한 소위 일탑식(一塔式) 가람으로 추정됐다. 이 사찰은 출토유물로 볼 때 신라가 백제, 고구려와 병립하던 삼국시대에 초축됐으며 그 이후 신라 통일기에 대대적인 증축이 있었다고 신 실장은 주장했다. 그는 그 근거로 지하 아래층 유적과 위층 유적 사이에 두께 1m 가량 되는 두터운 토사층이 확인되고 있음을 들었다. 절터 규모에 대해서는 사찰 전체 구역 중에서도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회랑 내곽, 즉 중문.탑.금당.강당을 합친 구역이 96 x 132m로 3천700여평에 이르고 있으며전체 사찰 면적은 이보다 훨씬 넓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신 실장은 "이러한 회랑 내곽 규모는 이 사찰의 초창기인 삼국시대나 이후 대대적인 중창이 있은 통일신라기나 변함이 없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백제 무왕이 건립한 전북 익산 미륵사지를 발굴한 최맹식 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은 "삼국시대 사찰로 회랑 내곽만 봤을 때 4천평은 황룡사(8천800평)와 미륵사(7천700평)에 이은 3번째 규모"라면서 "이런 거찰은 국가적 지원 없이는 건립될 수 없다"고 말했다. 삼국시대 다른 주요 사찰의 회랑 내곽 규모를 보면 부여 정림사지가 1천300평이며 통일기에 김대성이라는 개인이 세운 경주 불국사는 1천500평인 것을 비롯, 대체로 1300-1700평 규모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taeshi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