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러는 길 잘못 들어 헤매임도 한나절/상처를 입고 나서야 비로소/깨달음 얻어안고 헤쳐나온 길/돌아다보면 잘 보인다/내가 가고 싶은 곳 흐르고 싶은 곳/보이지 않는 손길들에 이끌려/나 지금 가고 있음도 잘 보인다"("어찌 헤매임을 두려워 하랴" 중) "전라도""백제"연작시로 유명한 이성부(59) 시인이 산행을 통해 자기성찰을 한 시집 "지리산"(창작과 비평사)을 냈다. 전작 "야간산행"이후 5년만에 펴낸 7번째 시집이다. 시집속 모든 시편들은 "내가 걷는 백두대간"이란 부제를 달아 연작시집 형태를 이뤘다. "80년 광주"를 체험하며 "살아남은 자의 슬픔"에 짓눌렸던 시인은 시작(시작)을 그만두고 자기학대와 현실도피 방편으로 산행을 시작했다. 그러나 산은 그에게 구원의 길을 열어주고 시를 다시 쓰게 했다. 예전의 "날 선" 언어들은 한결 잦아든 어법으로 탈바꿈했다. "물이 낮은 데로만 흘러서/개울과 내와 강을 만들어 바다로 나가듯이/산은 높은 데로 흘러서/더 높은 산줄기들 만나 백두로 들어간다/물은 아래로 떨어지고 산은 위로 치솟는다/ 흘러가는 것들 그냥 아무 곳으로나 흐르는 것/아님을 내 비로소 알겠구나!"(서시 "산경표공부" 중) 그는 산정(산정)에서 세상을 굽어보듯,인생의 지평을 멀리 내다보고 있다. 시집은 능선과 계곡에 서려있는 역사의 상흔도 놓치지 않는다. 시 "양수화가 토벌군을 사로잡다"는 빨치산 양수화가 토벌군을 잡았다가 풀어준 사실을 바탕으로 이념대립을 화해로 승화시켰고 시 "젊은 그들"은 전투에 희생된 주검들을 진혼한다. 또 남명 조식,최치원,김일손,도선국사,황현 등 선인들의 자취와 지혜도 시편 도처에 나타난다. 역사는 늘 현재와 겹쳐져 우리의 시야를 넓혀주기 때문이다. "이 길에 옛 사람들 발자국 남아 있는 것을 본다/내가 가는 이 발자국도 그 위에 포개지는 것을 본다/하물며 이 길이 앞으로도 늘 새로운 사연들/늘 푸른 새로운 사람들/./마침내 큰 역사 만들어 갈 것을 내 알고 있음에랴!"("그 산에 역사가 있었다" 중) 시인은 산행시를 쓴 동기를 "자유와 고독과 야성을 찾아가려는 산행이야 말로 나의 시가 가야 하는 길과 닮아 있는지도 모른다"고 토로했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