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전설적인 검객 미야모토 무사시(1584∼1645).

열세살에 첫 승부를 겨룬 이후 평생 단 한번도 패한 적이 없는 사무라이.

그는 스물 아홉살까지 60여회의 대결에서 모두 이겼다.

그러나 서른이 넘어서는 더 이상 ''죽음의 시합''을 하지 않았다.

이미 병법의 이치에 따라 모든 무예의 도를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가 말년에 쓴 ''오륜서(五輪書)''는 병법의 바이블로 통한다.

이를 현대의 경영 전략에 접목시킨 책 ''미야모토 무사시의 전략 경영''(안수경 옮김,사과나무,7천원)이 나왔다.

그는 이 책에서 검술과 무사의 도에 관해 얘기하지만 한 구절씩 음미해보면 난세에 필요한 경영전략의 진수가 담겨 있다.

적을 알고 자신을 다스리면 아무리 어려운 상황이 닥쳐도 반드시 승리할 수 있다는 원리를 배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병법을 목수에 비유한 대목을 보자.

그는 훌륭한 리더를 도목수(우두머리 목수)와 같다고 말한다.

천하를 재는 자를 갖춰 나라의 자를 정확히 잡고 집의 자를 잴 줄 아는 것이 도라는 것이다.

그는 ''무엇보다 무사는 문무2도(文武二道)라 하여 두개의 도리를 성실히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가 유능한 병법가이자 화가이며 조각가이기도 한 이유를 되새기게 하는 대목이다.

''적을 이기는 것만이 중요한 게 아니다.

자신을 이겨라.

서투른 병법을 사용하면 오히려 몸에 큰 해를 입힌다''는 지침도 여기에서 나왔다.

그의 철학은 다섯 가지 장으로 나뉜다.

땅,물,불,바람,비어있음의 전략이 그것이다.

땅의 전략은 곧은 길에 옥석을 깔아 땅을 굳게 만드는 전략이다.

물의 전략은 마음을 물처럼 맑게 하는 것.

어떤 상황에서도 침착성과 평상심을 잃지 말라는 것이다.

불의 전략은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하는 ''힘의 변화무쌍''을 말한다.

바람의 전략은 세상의 여러 유파들에 관한 인식.

적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는 말이다.

비어있음의 전략은 도리를 터득한 뒤 그 도리에 얽매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중요한 것은 ''상황을 제대로 보는'' 혜안이다.

그는 싸움에 임했을 때 눈을 크게 뜨고 넓게 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관(觀)은 깊이 꿰뚫어보는 것이고 견(見)은 살피는 것.

긴 칼과 짧은 칼의 쓰임새도 ''대(大)는 소(小)를 겸한다''는 경구로 설명한다.

칼의 길이에 연연하지 말라,무조건 긴 칼에 집착하는 마음을 버리라는 것이다.

뭉뚱거려서 단칼에 해결하려 하지 말고 편법과 요령에 얽매이지도 말라는 것.

기업의 구조조정 역시 큰 틀을 짤 때와 미세한 부분들을 조절할 때 쓰는 ''칼''이 달라야 한다는 것과 같은 원리다.

그는 ''끈질김''과 ''얽힘''의 뜻을 새롭게 인식시킨다.

끈질김으로 밀어붙이면 강하지만 얽혀서 들어가면 약한 법.

이것을 잘 분별하라는 것이다.

기업이든 개인이든 자기는 끈질기게 추진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한낱 얽혀들고 있는 경우가 많다.

''매사에 박자가 중요하다''''적을 칠 때는 일격에 쳐라''''상황이 좋지 않을 때는 상대의 핵심을 찔러라''등 합리적이고 유연한 사고로 자신을 다스려 적과의 맞섬에서 반드시 이겨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이 책은 그가 죽기 2년전,예순이 되던 해 가을에 썼다.

그만큼 인생의 단맛 쓴맛을 다 본 후에 나온 성찰의 결과다.

위기에 처한 기업뿐만 아니라 탄탄대로를 달리는 기업들도 귀를 기울일만한 조언들이 많이 담겨 있다.

고두현 기자 kd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