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대미술관이 최근 ''2001 올해의 작가''로 권옥연(77·예술원 회원) 화백을 선정했다.

근대미술관 성격의 덕수궁 미술관(분관)이 담당해야 할 전시특성에 맞춰 원로 작가인 권 화백을 선정,2001년에 덕수궁에서 대대적인 전시회를 열기로 한 것이다.

권 화백은 일본 제국미술학교를 나와 1950년대 후반 프랑스 유학을 다녀왔다.

구상과 비구상을 넘나들었지만 초기작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독특한 회색톤의 색감을 바탕으로 신비감과 초현실적 분위기의 화풍을 보여준 현대미술의 프런티어.

그의 대표작 ''부인상''(캔버스에 유채·80X65㎝)은 권 화백이 1951년 결혼기념으로 부인 이병복(연극인)씨를 그린 것이다.

한국전쟁와중에 그린 것이지만 낭만적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작품이다.

작고한 미술평론가 이일씨는 ''부인상''을 권옥연 회화 양식의 첫 걸음으로 보고 있다.

권 화백이 세잔과 고갱의 영향에서 벗어나 자기 나름의 독자적인 양식을 정립하기 시작 했다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우선 눈에 띄는 특징은 전통적인 모델링을 무시한 인물상의 형태와 그것에 걸맞은 대담한 색면 대비다.

칠흑같은 검은 모발과 강렬하면서도 억제된 붉은 스웨터,그리고 짙은 청색의 대조적인 색상 대비는 그 자체로도 이미 밀도있는 색채 환각(幻覺)의 세계를 이루고 있다.

화면 전부를 차지하다시피한 인물과 그 배경으로서의 풍경도 인물 못지않게 새로운 면모를 보여준다.

누가 그랬던가.

''그림은 사람''이라고.우리는 여기서 권 화백의 마음을 읽어야 한다.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부인을 모델로 한 것은 북쪽이 고향인 작가에게 남다른 심경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것을 이겨낼 수 있는 ''사랑의 힘''이 이 역작을 만들어내지 않았나 여겨진다.

권 화백과 이병복씨의 사랑은 그때 그 시절 문화계 화제였다.

파리유학을 마치고 온 1960년대 작업은 파리의 앵포르멜에 영향을 받아 한층 깊이 있는 예술세계를 보여준다.

1970년을 전후해서 이른바 사실화로 되돌아가 ''어른들의 동화''처럼 우리에게 먼 옛이야기,달과 산,나비와 꽃,새와 나무가 서로 밀어를 나누는 정담을 들려주고 있다.

그의 정감 넘치는 비현실적 세계는 그가 즐겨 사용하는 억제된 단색조의 화면으로 해서 더 한층 운치를 지닌다.

권 화백 그림을 소개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이야기가 있다.

그의 서화골동에 관한 안목이다.

눈이 높을 뿐 아니라 수집을 많이 해 명품이 수두룩하다.

영조 부마집이었다는 금곡의 아흔아홉간 집을 사들여 개축한 미술관에 그의 애장품이 전시되어 있다.

또 하나 권 화백의 노래 실력이다.

그는 노래를 부를 만한 자리면 사양하지 않고 한곡조 뽑는다.

주로 가곡이다.

알고보니 그의 선대인이 유명한 음악가인 권진기씨였고 그도 성악 지망생이었다.

월간 art 발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