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대 관학자로 식민철학을 주도했던 다카하시 도오루(1878~1967)의
논문들이 "조선의 유학"(소나무)이란 제목의 단행본으로 번역 출간됐다.

다카하시는 조선의 유학사를 주리론과 주기론으로 양분하고 사단칠정을
둘러싼 양측의 갈등이 당쟁으로 격화돼 결국 조선의 멸망을 가져왔다는
주장을 폈던 학자.

일본인은 물론 한국인에게도 조선유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준
장본인이다.

하지만 근대적인 의미에서 조선의 유학을 최초로 연구했고 학파별.지역별
분류를 넘어 "주리.주기론"이란 개념적 분류를 시도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기기도 했다.

그의 유학관에 대한 국내 학자들의 연구 논문들이 몇편 발표된 적은 있지만
저작물이 정식 소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책은 특히 다카하시의 학문적 업적을 계승하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그를
"극복하기 위해" 이뤄졌다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책에는 "조선 유학사에서 주리파.주기파의 발달" "조선 유학 대관"
"이황의 가장 충실한 조술자 권상일의 학설" 등 논문 6편과 한국사상사
연구의 권위자 현상윤의 "조선 유학사", 국어학자 정인보의 "담원국학산고"에
대한 두편의 서평이 실려있다.

다카하시는 "조선 유학사 최대 논쟁은 사단칠정, 즉 이발기발에 대한
것이며 이것이 퇴계학파와 율곡학파를 형성해 당쟁을 격화시켰다"고
주장한다.

그는 또 "조선의 사상이 6백40년 동안 주자학 일변도로 고착화 돼 진보.
발전성을 상실했다"고 지적하고 이는 국민성으로 이어져 조선이 멸망한
계기가 됐다고 강조한다.

이처럼 그는 조선의 사상을 심하게 폄하하고 있으며 노예의 마음에 주인을
존경하고 스스로에 대한 비하를 정당하게 여기는 철학을 조선인에게
각인시키려고 했다.

이와 관련, 편역자인 조남호(서울대 철학과 강사)씨는 "다카하시의 주리.
주기식 구분은 조선 침략을 정당화하기 위한 것으로 조선 철학사 전체에
적용하기에는 적절치 못한 점이 많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선 철학사는 지나치게 어려워 제대로 연구된 것이 없다는 점에서
"다카하시가 제기하는 철학적 문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고
말한다.

< 강동균 기자 kdg@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2000년 1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