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가에서 추석을 앞두고 실속파를 겨냥해 잇따라 모바일 상품권을 선보였다.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른 MZ(밀레니얼+Z)세대가 모바일 선물하기에 익숙해 수요가 늘고 있는데다 추가 고객 확보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쓱닷컴도 컬리도 내놨다…'모바일 상품권'
26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추석을 앞두고 이커머스(전자상거래) SSG닷컴과 컬리가 충전식 모바일 상품권을 내놨다.
장보기 애플리케이션(앱) 마켓컬리 운영사 컬리는 지난 11일 '컬리상품권'을 출시하며 추석 선물 수요 공략에 나섰다. 컬리상품권은 상품권 금액 만큼 포인트 '컬리캐시'로 충전할 수 있는 온라인 교환권이다. 상품권은 3만원부터 시작해 최대 50만원권까지 6종이다. 충전된 컬리캐시는 '마켓컬리'와 화장품 버티컬숍 '뷰티컬리'에서 현금과 같이 사용 가능하다.
소비자가 타인에게 선물하기 위해서는 컬리 앱과 웹사이트에서 구입 시 '전달하기'를 통해 받는 사람의 휴대전화 번호와 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컬리 관계자는 "‘선물하기’ 기능에 초점을 맞춰 컬리상품권을 개발했다"며 "300만원 이상 대량 구매 시에는 구매금액의 3% 할인 또는 3% 적립금 혜택도 받을 수 있다"고 소개했다.
앞서 지난달 신세계그룹 계열 이커머스 SSG닷컴도 포인트인 'SSG머니'로 충전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선보였다. 1만원권부터 50만원까지 7종으로 구성된 상품권은 충전 후 신세계그룹 관계사 가맹점 등에서 현금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상품권 구매와 선물은 SSG닷컴에서 가능하다. 선물 받은 사람이 SSG닷컴이나 간편결제 서비스 SSG페이 모바일 앱에 입력하면 SSG머니가 충전되는 방식이다.
이에 앞서 이커머스 강자 쿠팡은 2017년 9
‘축하받는 사람’ ‘축하하는 사람’. 이 두 가지 입장에서 어떤 마음을 갖게 되는지 생각하며 그림을 그렸다고 해요. 특히 너무 기분 좋기도 하지만 주목받아 창피한 마음도 들어서 부끄럽다는 ‘축하받는 사람’의 마음을 캐치한 작가님의 세심함에 감탄했습니다. 아르떼 회원 ‘차이코프스키키키’ 이벤트 : M 클래식축제 '메인콘서트'
M 클래식축제의 하이라이트는 10월 11일 서울 마포아트센터 아트홀 맥에서 열리는 ‘메인 콘서트’ 공연이다. 지휘자 김건이 이끄는 M 클래식 페스티벌 오케스트라와 피아니스트 김도현이 협연한다. 10월 5일까지 아르떼 사이트와 모바일 앱에서 신청할 수 있다. 5명에게 R석 2장씩을 준다. 당첨자 발표는 6일.
arte.co.kr에서 이벤트에 응모할 수 있습니다. 꼭 읽어볼 만한 칼럼
기성 공연 베끼다시피 하는 대학 동아리
그간 대학교 동아리 공연에서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기성 공연을 베끼다시피 하거나 상당 부분 참고해 비슷하게 만드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소개된 지 오래된 작품의 경우 심지어 전공학과 공연에서도 그런 일이 일어나곤 했다. 타인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저작재산권 침해에 해당한다.
쇼노트 부사장의 ‘씨어터 인사이트’
책 제목을 듣고 정말이지 아차 싶었다
1999년 미국 콜럼바인 총격 사건을 다룬 책이 국내 출간된다는 말을 들었다. 나는 누가 관심을 보이겠냐고 했다. 유사 사건이 끝없이 이어지고 있고, 심지어 가해자 어머니가 쓴 책이라니. 1년가량 지나 한국어판 제목이 로 결정됐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정말이지 아차 싶었다.
문학과지성사 김현주의 ‘탐나는 책’ 볼 만한 전시 공연
음악 - 안드라스 쉬프 독주회
‘피아니스
추석 가족 모임 때 꺼내선 안 되는 ‘명절 금지어’가 있다. 취업, 결혼, 외모 등이다. 오랜만에 만난 가까운 사람들과 문화예술을 주제로 얘기해보면 어떨까. “취업 준비는 잘 되느냐”는 질문은 “요즘 어떤 영화나 드라마가 재미있느냐”로, “결혼은 언제 할 거냐” 대신 “최근 본 책, 공연, 전시 중 하나를 추천해달라”로 바꿔보자.
국내 최대 문화예술 포털 ‘아르떼’(www.arte.co.kr)를 방문하면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금방 찾을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의 문화 담당 기자들과 120여 명의 예술가 및 전문가는 추석 연휴에도 칼럼과 기사들을 쏟아낸다. 연휴 때 가족과 영화관이나 미술관, 공연장 나들이를 계획하고 있다면, 아르떼에서 전문가 리뷰와 해설을 읽어보면 도움이 된다.
영화를 예로 들어보자. 아르떼에는 추석 때 개봉하는 한국 영화 ‘빅3’(천박사 퇴마 연구소, 거미집, 보스턴1947)에 대한 리뷰 기사가 담겨 있다. 연휴 중 개봉하는 ‘당나귀EO’ ‘더넌2’ ‘크리에이터’ 리뷰도 수시로 업데이트된다. 리뷰를 읽으면 어떤 영화가 나와 맞는지, 어떤 포인트를 염두에 두고 감상할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미술·전시에선 요즘 가장 ‘핫’한 ‘장욱진 회고전: 가장 진지한 고백’과 ‘오스틴 리’ 리뷰가 실린다. 학고재, 아라리오 등 갤러리 전시 소개 및 리뷰 기사도 연휴 기간에 여럿 올라온다.
칼럼도 끊기지 않는다. 성수영 기자의 ‘그때 그 사람들’은 ‘빛의 화가 렘브란트’를 주제로, 김수현 기자의 ‘마스터피스’는 조성진과 임윤찬이 오는 11월 각각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는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4번’에 대해 심층 분석한다. 오동진 영화평론가의 ‘여배우 열전’과 남무성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