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짜 게임 풀자 트래픽 폭주
통신사 "계약한 용량 넘었다"
추가비용 요구했지만 거절당해
넷플릭스 등 해외社와 갈등심화
미국 게임 개발·유통회사 에픽게임즈가 대용량 게임을 무료로 배포해 데이터 트래픽이 폭증하면서 통신사와 갈등을 빚고 있다. 넷플릭스, 구글, 페이스북 등 글로벌 콘텐츠사업자(CP)와 통신사 간 망이용료 분쟁이 게임회사로까지 번지는 모양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에픽게임즈는 자사 게임 플랫폼인 ‘에픽게임즈 스토어’에서 인기 게임을 일정 기간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는 행사를 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GTA5, 문명6 등 출시된 지 몇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인기있는 게임들을 무료로 풀었다. 게임 유통 플랫폼 1위인 ‘스팀’에 맞서 이용자를 모으기 위한 전략이다.
그러나 이벤트 과정에서 트래픽이 급증하면서 통신사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오프라인에서 게임 패키지를 구매하던 기존 유통 방식과 달리 스팀과 에픽게임즈 스토어 등 게임 플랫폼에서는 온라인으로 구매한 뒤 다운로드하는 방식으로 유통이 이뤄진다. 고용량 게임을 내려받으려는 이용자가 한번에 몰리면 통신망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게 통신사들의 설명이다.
실제 GTA5를 무료로 배포한 지난달 15~21일 트래픽 과부하가 발생해 사이트 접속이 안 되거나 다운로드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통신사들과 계약한 트래픽 용량을 넘어선 탓이다. GTA5의 다운로드 용량은 90GB 안팎이다. 무료 이벤트 소식이 게임 커뮤니티 등을 통해 확산되자 단기간에 이용자가 몰려 트래픽이 폭증했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이벤트 기간 중 트래픽이 160% 늘었다”며 “고객센터로 불만이 대거 접수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통신업계에서는 게임 무료 배포를 지속하려면 에픽게임즈 측이 추가되는 트래픽에 대한 비용을 분담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벤트로 인한 트래픽 증가는 계약서상 명시된 범위 밖이라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통신사들은 에픽게임즈 측과의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명시적인 갈등의 주체는 에픽게임즈의 콘텐츠전송네트워크(CDN)를 담당하는 아카마이다. 에픽게임즈는 일본에 서버를 두고 아카마이를 통해 국내 통신망을 이용하고 있다. KT,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 등은 모두 아카마이와 계약해 글로벌 CDN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최근 한 통신사는 에픽게임즈와 아카마이에 계약한 용량 이상의 트래픽을 유발할 경우 초과분에 비례해 과금하는 ‘유상연동 방식’을 제안했다가 거절당했다. 아카마이 측은 망중립성 등을 이유로 추가 비용을 낼 의사가 없다는 입장이다. 에픽게임즈가 향후 신작 게임을 무료로 내놓을 거라는 소문까지 돌면서 양측의 갈등은 고조되고 있다.
국내 통신사와 해외 CP 간 망이용료 분쟁은 처음이 아니다. 구글, 넷플릭스 등 해외 CP가 국내에서 막대한 이익을 챙기면서도 망이용료를 거의 내지 않아 논란이 됐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해외에 서버를 둔 글로벌 CP들의 트래픽이 늘어나면서 국제회선에 대한 정산료가 늘어나고 있다”며 “이익은 CP가 챙기고 비용은 통신사가 부담하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배달 대행 서비스 ‘부릉(VROONG)’을 운영하는 스타트업 메쉬코리아가 16일 KT와 ‘물류 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맺었다.양사는 이번 제휴를 토대로 메쉬코리아의 물류 플랫폼 운영 노하우와 KT 기가지니 인공지능(AI) 기술력을 결합해 신규 물류 플랫폼 사업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메쉬코리아 물류 서비스에 KT의 AI 기술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창고 운영, 물류 동선 등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이다.유정범 메쉬코리아 대표는 “KT와 함께 AI,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신규 물류 플랫폼 사업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구민기 기자 kook@hankyung.com
LG유플러스가 5세대(5G) 이동통신 단독모드(SA) 기반 음성통화 서비스 기술을 상용망에서 시연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발표했다.이번에 LG유플러스가 테스트한 기술은 Vo5G(보이스 오버 5G)다. 통신 3사가 사용 중인 VoLTE(보이스 오버 LTE)와 마찬가지로 5G 네트워크만을 활용해 음성통화를 하는 방식이다.현재 국내 가입자들이 쓰고 있는 5G 네트워크는 LTE망을 공유하는 비단독모드(NSA)다. 이 때문에 VoLTE 방식으로 통화가 가능하다. 하지만 향후 5G 단독모드가 상용화되면 LTE 네트워크로 전환한 뒤 통화를 하는 EPS FB 방식이나 Vo5G 방식을 써야 한다.Vo5G 방식은 EPS FB 방식과 달리 5G 데이터 서비스를 쓰면서 동시에 통화할 수 있고 연결 시간도 빠르다. 아직까지 5G 전국망이 구축되지 않은 만큼 두 방식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박송철 LG유플러스 NW기술운영그룹장(전무)은 “이번 상용망 테스트로 5G 단독모드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 확보에 성공했다”며 “5G 단독모드 상용화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KT가 국내 산업용 로봇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인 현대로보틱스에 500억원을 투자했다. 지능형 서비스로봇과 자율주행 기술 등을 함께 연구할 계획이다.KT는 현대로보틱스와 500억원 규모의 지분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발표했다. 취득 후 현대로보틱스에 대한 KT의 지분은 10%다. 이번 투자는 구현모 사장이 KT 대표이사에 취임한 후 첫 전략적 투자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이날 체결식에는 구 대표, 정기선 현대중공업지주 부사장, 서유성 현대로보틱스 대표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KT와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해부터 5G, 인공지능(AI), 스마트팩토리 등에 기반한 디지털 혁신을 위한 협력을 지속해 왔다. 이번 계약으로 양사의 디지털 협력이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로보틱스는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 2017년 현대중공업지주의 로봇사업부로 설립돼 지난달 별도 법인으로 분리됐다. KT는 이번 투자로 사업협력에 필요한 인력을 교류할 예정이다. 또 KT가 보유한 디지털 혁신 역량을 토대로 로봇과 스마트팩토리 분야에서 현대로보틱스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계획이다.두 기업은 이번 계약에 따라 지능형 서비스로봇 개발, 자율주행 기술 연구, 스마트팩토리 분야 등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KT는 지능형 서비스로봇과 자율주행기술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과 적용을, 현대로보틱스는 하드웨어 개발 및 제작을 각각 담당한다.스마트팩토리 분야에서는 KT가 통신기술, 클라우드, ICT 솔루션 및 보안 관련 결합상품 등을 제공하고, 현대로보틱스는 로봇과 솔루션 등을 공급하기로 했다. KT의 스마트팩토리 전용 플랫폼(5G 팩토리 메이커스)과 현대로보틱스의 현대 로봇 관리시스템(HRMS)의 결합으로 스마트팩토리의 공정분석, 생산관리, 예지 보전 등이 한층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