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17년까지 콘텐츠 시장을 120조원 규모로 육성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4일 박근혜 정부가 역점을 둔 콘텐츠산업 육성 분야의 로드맵이라고 할 수 있는 '콘텐츠산업 진흥계획'을 발표했다.

콘텐츠산업은 고용유발효과가 반도체와 자동차 같은 제조업보다 월등히 높은 데다 성장세도 두드러져 박근혜 정부의 모토인 '창조경제'를 견인할 주요 동력으로 관심을 모았다.

이에 문화콘텐츠 진흥 업무를 맡은 문체부와 디지털콘텐츠를 관장하는 미래부는 지난 6월 4일 업무협약을 하고 합동 테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진흥계획을 마련해왔다.

여러 차례 간담회와 포럼을 거친 끝에 콘텐츠 산업 분야에 대한 정책 방향이 이날 윤곽을 드러낸 것이다.

진흥계획의 초점은 향후 5년 동안 정부 지원을 강화해 콘텐츠 산업의 덩치를 크게 키우면서 업계의 '손톱 밑 가시'를 뽑는데 맞춰졌다.

2017년까지 콘텐츠산업 시장 규모를 120조원으로 키우고 수출 100억 달러에 69만명 고용을 목표로 내세웠다.

작년 수치와 비교하면 시장규모는 32조원이 더 늘어나고, 수출은 두 배가 되며 일자리는 8만개가 추가로 창출되는 셈이다.

이를 위한 추진전략은 모두 5개로 ▲창의성과 상상력을 지원하는 창조기반 조성 ▲창업 활성화 및 창의 인재 양성 ▲글로벌 콘텐츠 육성 및 지역기반 강화 ▲건강한 콘텐츠 생태계 조성 ▲콘텐츠 육성 거버넌스 구축 등으로 이뤄졌다.

이날 발표에서는 2017년까지 콘텐츠 분야에 펀드 9000억원(문체부 위풍당당콘텐츠코리아펀드 5000억원, 미래부 디지털콘텐츠코리아펀드 4000억원)을 추가로 조성한다는 안이 두드러졌다.

이렇게 되면 모태펀드를 활용한 투·융자 재원이 지난해 9200억원에서 1조8200억원으로 확대된다.

산업 현장의 불편 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 개선안도 마련됐다.

공연기획사에 대한 무료초대권 요구 관행 근절, 대중음악공연장 대관료 징수체계 개선, 콘텐츠 수출 활성화를 위한 수출입은행의 투자 여건 개선 등이 주요 내용이다.

또 제한상영가 등급 영화의 예술영화 전용관 상영을 위한 법 개정 추진, 뮤직비디오 사전 등급분류제도 폐지 검토, 도로에서 영상물 촬영 때 협조 위한 업무 지침 마련 등 영상업계가 겪는 고충도 차례로 해결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창작과 창업을 지원하는 공간인 '콘텐츠코리아 랩'도 2017년까지 전국에 23개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순수예술, 게임, 패션, 음악 등 문화콘텐츠 장르별 융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문화융합형 랩' 8개소와 모바일·TV앱, 양방향 콘텐츠 등 디지털콘텐츠 분야에 특화한 '디지털선도형 랩' 15개소다.

또 음악, 게임, 애니메이션·캐릭터, 영화, 뮤지컬을 글로벌 5대 킬러콘텐츠로 육성한다.

저작권 보호 체계 구축, 표준계약서 개발 및 보급, 소외계층 위한 콘텐츠 개발 등도 이뤄진다.

다만, 이날 진흥 계획은 콘텐츠 육성이라는 큰 맥을 주로 짚었을 뿐 분야별 세부 시나리오는 포함하지 않았다.

변화가 많은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목표 통계 수치를 달성할지는 실무 과제로 남은 셈이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