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닷컴] 한국과 미국의 정부 부처와 민간 기업의 웹사이트를 공격한 인터넷 주소가 북한으로 추적됐으며,사이버 공격의 배후는 북한이라는 주장이 미 정부 관계자들을 통해서도 흘러나왔다.

AP통신은 8일 익명을 요구한 미 정부 관계자 3명의 말을 인용,사이버 공격을 한 인터넷 주소를 추적해 보니 북한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하지만 이는 북한 정권이 이번 공격에 개입했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진 않는다고 말했다.폭스뉴스는 이날 미 국방부 관리가 사이버 공격을 벌인 배후는 북한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폭스뉴스는 또 사이버 공격이 실질적으로 시작된 시점은 지난 4일이 아니라 일주일전이라고 덧붙였다.워싱턴포스트는 사이버 공격을 받은 곳이 자사를 포함,모두 35곳이라고 전했다.워싱턴포스트의 웹사이트는 이날 밤 다운돼 접속이 불가능했다.

워싱턴 싱크탱크인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도 “북한이 한국과 미국에 대한 사이버 공격의 배후일 수 있다”고 밝혔다.그는 북한군이 1996년 500~1000명의 전문 해커부대를 창설했으며,2006년 한국과 미 국방부를 목표로 해킹을 시도해 큰 피해를 입힌 적이 있다는 한국의 국회 정보위원회 발표내용을 제시했다.미 퍼듀대 진 스패퍼드 교수는 “공격 대상 사이트를 보면 이 공격이 북한에 동조하는 그룹의 소행일 가능성을 시사한다”면서 “한국이나 중국 미국 등 세계 어디에든 있을 수 있는 범죄그룹이 북한 또는 추종세력에 매수된 것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하지만 미 정부의 공식 반응은 아직 조심스럽다.이언 켈리 국무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사이버 공격에 대해 조사를 벌이고 있으나 아직까지 공격의 주체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말했다.인터넷보안업체 시만텍의 딘 터너 세계정보네트워크 국장은 “우리는 배후가 누구인지 모르며,공격 목적이 무엇인지 알아낼 수 없을지 모른다”고 설명했다.

워싱턴=김홍열 특파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