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회사의 글로벌 로밍 담당 직원들은 요즘 냉가슴을 앓고 있다. 로밍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이용자와 매출은 크게 늘고 있지만,환율이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환차손이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로밍은 국내에서 쓰던 휴대폰이나 공항에서 빌린 단말기를 들고 나가 해외에서 사용하는 서비스다. SK텔레콤 KTF LG텔레콤 등 국내 이동통신 회사들은 로밍 계약을 맺은 현지 이동통신 업체와 개별 협상을 벌여 로밍 서비스 요율을 정한다. 자사 가입자를 위해 해외 사업자의 통신망을 빌려 쓴 대가를 정산을 통해 지불하는 방식이다. 이때 국내 가입자한테는 원화로 요금을 받고 해외 사업자에게는 현지 통화로 요금을 정산한다. 환율이 오르는 만큼 환차손이 불가피한 구조다.

이동통신사들은 과거에는 매달 환율 변동에 따라 로밍 요금을 달리 적용했다. 그러다 2007년 7월부터 환율과 상관없이 국가별로 정액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로밍 요금 체계가 바뀌었다. 소비자가 로밍 요금을 쉽게 예측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제도를 개선한 것이다.

문제는 당시 적용한 환율이 아직도 쓰이고 있다는 점이다. 제도를 바꿀 때 기준이 된 원 · 달러 환율은 930원대였다. 1500원을 넘어선 지금과 비교하면 60% 이상 환율이 올랐지만,로밍 요금은 1년반 넘게 변화가 없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로밍 이용자들이 해외에서 국내로 전화를 거는 아웃바운드 로밍 통화를 쓸 때마다 손실이 나고 있다"며 "그렇다고 환율에 맞춰 요금을 현실화하기 힘든 상황이라 손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고 토로했다. KTF 관계자도 "로밍 서비스 매출이 늘어도 즐거워 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외국인이 국내에 들어와 사용하는 인바운드 로밍의 경우는 어떨까. 아웃바운드와는 반대로 해외 사업자가 달러화나 엔화로 정산하기 때문에 환율이 오르면 환차익이 발생한다. 하지만 전체 로밍 매출 가운데 인바운드 로밍의 비중이 낮고 정산 시스템 등 인프라에 투입하는 비용을 빼고 나면 환손실 부분을 상쇄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고 업체들은 설명한다.

그렇다고 이통사들이 로밍 요금을 과거처럼 환율과 연동해 받기도 힘든 상황이다. 이용약관에는 환율이 기준 환율 대비 5% 이상 변동할 경우 조정할 수 있도록 돼 있지만 요금이 자주 바뀌면 소비자의 불편만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동통신 업계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로밍 요금이 비싸다는 인식이 강한 데다 경기 불황으로 이통사들이 요금을 올리겠다는 얘기를 꺼내기 힘든 상황"이라며 "하지만 고환율 추세가 계속돼 손실이 늘어날 경우 로밍 요금을 환율에 맞게 현실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3세대 WCDMA 이동통신 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로밍 이용자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SK텔레콤의 로밍 이용자는 인바운드 160만명,아웃바운드 373만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90%와 24% 늘어났다. 로밍 매출도 34% 늘어난 2023억원을 나타냈다. KTF 로밍 이용자는 76% 증가한 233만4000명,매출은 78% 늘어난 688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양준영 기자 tetri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