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초고속인터넷과 무선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갖고 있다.이를 바탕으로 기존 산업을 보완하면서 새로운 수익 모델을 만들어 가야 한다.특히 한국은 중국으로 가는 관문이라는 점에서 전세계 IT기술의 시험대(Test Bed)가 될 수 있고 그만큼 더 큰 기회를 잡을 수 있다"(하임 멘델슨 스탠포드대 경영학 교수) "아직 확실한 비즈니스모델이 만들어진 것은 아니지만 한국의 발달된 인프라를 바탕으로 핸드핼드 디바이스(무선 단말기)와 인터넷을 결합시키면 많은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제프리 모리슨 아이파크 소장) 미국 실리콘밸리의 IT 전문가들은 한국을 '기회의 땅'으로 보고 있다. 1990년대 중반만 해도 그들은 한국을 반도체칩을 많이 찍어 내는 나라 정도로 인식했었다. 그러나 이제는 한국이 세계 IT 발전의 향방을 조망해 볼 수 있는 'IT 기술대국'으로 성장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그들은 IT산업의 호황이 한국에서 재현되면 미국 실리콘밸리의 부활이 실현될 수 있다고 기대한다. 실리콘밸리의 희망을 한국을 통해 가늠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IT 코리아'는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정보화촉진기본계획(1996년) 사이버코리아21(1999년)이란 비전을 현실화시키면서 한국경제의 성장엔진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아직 가야 할 길은 멀다. 양적으로 확대된 인프라에 비해 이를 질적으로 고도화할 수 있는 사회 전반의 운영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업의 e비즈니스를 지원하기 위한 표준과 물류체계,법제도 등 기반 환경이 취약하고 불투명한 회계와 거래관행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핵심 원천기술과 전문인력 확보도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했고 공공부문 정보화도 아직 미흡하다. 정부는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최근 'e코리아 비전 2006'이란 새로운 'IT 코리아'의 청사진을 내놓았다. 앞으로는 △양적 확산에서 질적 심화 △정부 주도에서 신(新)산업 토양 조성 △따라잡기(Catch Up)에서 선도(Lead)하는 방향으로 방향을 설정했다. 그 캐치프레이즈가 '글로벌 리더,e코리아 건설'이다. 이중에서도 정부 주도 방식의 IT 발전이란 테제가 확실히 민간 자율로 자리바꿈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안형택 동국대 교수는 "민간이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 역할을 그동안 정부가 주도해 왔던 게 사실"이라며 "이제는 시장 및 민간의 기능과 역할을 독려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남궁석 의원(민주당·전 정보통신부 장관)은 앞으로 희망을 갖고 부분적인 실패가 있더라도 IT산업에 계속 승부를 걸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e코리아의 핵심은 통신인프라를 구축하고 사람을 교육시켜 강한 사람,강한 기업,강한 국가가 되는 것"이라며 "모든 경제 사회 시스템에 IT를 접목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선도적인 투자를 지속하는 것이 유효하다"며 "세계 1위 자리를 차지한 국내 제품이 현재 99개에 달하는데 이것은 바로 선행투자를 과감히 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장규호 기자 sein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