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등 27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능이 `선택과 집중' 전략도입 및대학이나 기업 연구소와의 차별화를 통해 연구기관별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정될 전망이다. 14일 과학기술부와 국무조정실이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에 제출한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기능정립 방안'에 따르면 이들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앞으로 중.장기 연구과제나 정보기술(IT), 생명공학기술(BT) 등 차세대 성장기반 기술과 연계된 기술 개발에 주력하게 된다. 반면 단순 연구지원기능이나 단기 연구사업, 지나치게 실용화 위주로 추진되는 연구과제, 민간 연구기관과 중복되는 연구사업 등은 단계적으로 축소, 폐지된다. 이에 따라 KIST의 경우 나노기술, 지능형 인간-컴퓨터 인터페이스, 마이크로시스템, 선도물질, 자원순환형 환경기술 등의 분야에 대한 연구가 중점 추진되고 철강재료, 정유산업공정 등 단기 현안기술에 대한 연구는 축소된다. 또 생명공학연구원의 경우 유전체 이용 기술, 프로테옴 응용기술, 공공 유전정보 구축 등 3개 분야 연구가 중점 추진되고 분자세포생물학, 생물소재 관련기술 분야 연구는 민간 연구소로 이양되거나 축소된다. 과기부와 국무조정실은 보고서에서 "최근 민간 연구소와의 연구과제 수주경쟁, 연구기관간 기능 중복, 연구역량 분산으로 인한 효율적 연구 추진의 어려움 등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기능을 재정립할 필요가 생겼다"고 지적했다. 이어 "연구기관의 기능 재정립 작업을 마치면 연구기관 총 예산의 50%까지 정부에서 지원하는 등 안정적인 연구여건을 제공해 연구기관의 전문성을 높이겠다"고 설명했다. 이 안건은 오는 21일 열릴 예정인 제9차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 심의, 의결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김세진기자 smile@yna.co.kr